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삼출성 중이염으로 인한 수술 환자가 약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안중호 교수팀은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아산병원, 울산대병원, 강원대병원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삼출성 중이염은 중이에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으로, 주로 상기도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연구에 따르면 2019년 893명이었던 환기관 삽입술 환자 수는 2020년 562명으로 37% 감소했으며,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83명, 545명으로 2019년 대비 45.9%, 38.9% 줄었다. 그러나 2023년에는 779명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연구팀은 사회적 거리 두기,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마스크 착용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시행되면서 당시 병원을 찾은 감기 환자들이 줄었다는 통계가 나온 바 있다.하지만 코로나19가 유행한 시점에 이비인후과 질환의 발생률에 실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없었는데, 코로나19 발생 후 3년간 삼출성 중이염 환자가 크게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안중호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국내 3개 병원의 이비인후과 질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팬데믹 기간 삼출성 중이염으로 인해 수술을 받은 환자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2019년) 대비 평균 40% 감소했다고 밝혔다
낮밤의 기온 차가 심해지면서 감기 환자가 늘고 있다. 감기는 워낙 흔한 질병이라 가볍게 여기기 쉽지만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영유아는 감기 후 중이염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중이는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를 말하며, 이 중이강 내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중이염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소아 중이염은 3세 이전의 소아 10명 중 7~8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하며, 한번 겪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크고 증상 정도에 따라 청력 저하까지 일어날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성인과 귀 구조가 달라 중이염이 잘 발생한다. 유스타키오관이라고 하는 중이와 인후를 연결하는 작은 관이 있는데, 어린아이들
오는 9월 9일은 숫자 9와 모양이 닮은 귀를 건강하게 지키자는 의미에서 제정된 '귀의 날'이다. 청력은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는 영역으로 '100세 시대'를 살아갈 아이의 귀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아이가 갑자기 귀를 자꾸 만지거나, 보챈다든지, 고름이 흘러나올 때는 급성 중이염(中耳炎, acute otitis media, 중이에 고름이 차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고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진다. 그러나 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진단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언어발달이 저해되거나, 고막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이대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신승호 교수는 "삼출성 중이염은 대개 호전
관광 통계에 따르면, 여름철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물놀이 활동이 이루어지는 시기다. 여름철인 7월과 8월은 해수욕장과 수영장을 찾는 방문객 수가 급증한다. 이로 인해 물놀이 후 발생하는 귀 질환의 위험도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건강한 귀는 물이 들어가도 대부분 문제가 없지만, 고막에 천공이 있거나 오염된 물이 귀에 들어가면 중이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수영장이나 해수욕장의 물은 여러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는 공간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또한, 스킨스쿠버나 다이빙과 같은 해양 스포츠를 즐기다 보면 기압 변화로 인해 중이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물놀이 중 오염된 물이 코나 귀에 들어가면, 외이
소아 급성 중이염은 굉장히 흔하고, 쉽게 잘 낫는 질환이지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난청이나 어지럼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중이염에 따라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난청,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있더라도 아이의 경우 표현이 어려워 발견이 늦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홍석민 교수와 함께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귀 질환인 중이염과 선천성 진주종 등 귀 질환의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 이전의 이소골을 포함하는 공간을 말한다. 고막과 이소골, 유양동이라는 귀 주변의 뼈까지 포함되어 있다. 중이에...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커지면서 기온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지 못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기 쉽다. 특히,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 등 각종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많은 봄철에는 콧물, 코막힘 등 기관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는데, 누런 콧물과 코막힘이 오랜 시간 지속된다면 부비동염(축농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에 따르면, 실제 4~5월에 급성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2022년의 월별 급성 부비동염 환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3월 30만 8,222명에서 4월 37만 9,027명으로 급증했다. 마찬가지로 2022년에도 환자수는 3월 26만 9,890명에서 4월 33만 4,441명으로 증가했다.■...
제너럴네트(대표 송강호)와 아이도트(AIDOT)가 4일 AI 기반 실시간 중이염 체온 측정기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이날 오전 GN그룹 대회의실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제너럴네트 송강호 대표와 박낙순 전무, 윤형기 이사를 비롯해 아이도트 정재훈 대표와 임윤재 상무, 임가람 이사가 참석했으며, 양사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을 위해 상호 협력키로 했다.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기업 아이도트는 2022년 국내 최초로 자궁경부암 진단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써비레이 AI (Cerviray A.I.)’에 대한 3등급 의료기기 허가 승인을 받은 업체다.또, 알코올성 간질환 조기진단 솔루션 ‘바이오닷 AI(BIO dot AI)’, 뇌졸중 사전 예...
귀가 아프면 일단 중이염으로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중이염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아야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고 예방도 가능하다.중이염은 귓구멍을 지나 외이도를 거쳐서 고막 뒤편에 있는 중이(中耳)에 생기는 염증이다. 특히 중이염 중에서 고막 천공, 난청, 반복적인 이루(耳漏)가 있으면서 이러한 염증이 3개월 이상 지속 혹은 반복될 경우 만성 화농성 중이염이라고 한다. 만성 중이염은 크게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으로 구분되는데, 이통, 이루 등의 확연한 염증 증상이 있는 전자와 달리, 후자인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은 난청 이외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만성 유착성 중이염, ...
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중이염은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면 청력이 떨어질 수도 있고, 심한 경우 언어발달장애와 같은 심각한 후유증까지 발생할 수 있다.하지만 고막 안쪽에 생기는 중이염 등 중이 질환을 검이경(귀내시경)으로 짧은 시간 내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생각보다 까다롭다.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단율이 약 73%라는 연구 결과가 있을 정도인데, 최근 딥러닝 기술 기반의 인공지능이 중이염 등 중이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해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안중호 ‧ 의공학연구소 권지훈 교수팀은 6천 6백여 건의 검이경 검사 사진을 활용해 귀의 중이 질환을 진단해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최근 오미크론 유행으로 감기 증상을 앓고 난 이후까지 귀가 먹먹하거나 귀에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는 상기도 급성 감염에 의해 염증이 생긴데다가 반복되는 기침 등으로 인해 중이염이 발생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중이염은 쉽게 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귀에서 어떤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일까? 우리의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중이는 고막에서부터 달팽이관까지의 공간을 의미하는데, 중이강에는 비강과 연결되어 귀의 압력을 조절해주는 귀인두관(이관)이 있다. 귀인두관(이관)은 중이의 압력이 외부와 같아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데, 일반적으로 우리가 침을 삼키거나 하...
“귀가 너무 아파요.”,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귀가 아파서 꺅 소리를 질렀어요.” 평소와는 다르게 감기가 걸린 이후 아이가 귀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 화농성 중이염일 가능성이 있다.일반적으로 바이러스나 세균감염 등으로 발생되는 경우 발열, 오한 등의 전신증상을 동반하곤 한다. 하지만 전신증상과 함께 아이가 귀가 아프다며 귀를 잡아당기거나 울거나 하면 화농성 중이염도 고려해 봐야한다. 이때 귀를 자세히 살펴보면 고막이 도넛 모양으로 팽대 되어 있으며 속에 고름이 찬 것처럼 노랗게 보이고 심하면 천공이 생겨 귀에서 진물이나 농이 흘러나오기도 한다.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항생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화농성...
중이염은 일반적으로 1세~9세 소아에게 다발하는 질환이고 9세 이후부터는 발병빈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질환이다. 그 이유는 성인이 되면서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이 점차 길어지고 구불구불해지고 좁아져서 세균이 코에서 귀에까지 퍼질 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그렇다고 성인들은 중이염에 절대 안 걸리는 것은 아니다. 발생빈도가 소아에 비해 적지만 성인들도 감기가 오래 지속 되거나 면역기능이 저하되는 경우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성인에게 중이염이 발생한 경우 금방 낫지 않고 재발 반복되어서 만성중이염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만성중이염은 중이염이 낫지 않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치료하지 않...
아이 중이염은 엄마들의 걱정이 매우 많은 질환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재발률과 발병률이 높기 때문인데. 아이들이 3살이 될 때까지 80% 이상이 최소 1회 이상 걸린다고 알려져 있고, 첫 발병 시기가 2세 이전인 아이는 2세 이후인 환자에 비해 급성중이염이 재발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병원을 방문하는 아이 환자는 상당히 어린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한 달에 한 번씩 감기와 중이염을 앓고 한번 앓으면 2주 이상 지속되는데 그 때마다 ‘항생제를 달고 산다’라고 보호자가 표현하면서 우려하기도 한다. 아이가 항생제를 계속 복용해도 괜찮을까. 내성이 생기지는 않을까. 아이의 성장을 저해하지는 않을까. 이런 게 아니더라도 좋...
중이염이란 중이강 내에 삼출액이 차거나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 중이는 귓바퀴부터 고막까지의 바깥귀와 달팽이관 및 반고리관을 지칭하는 속귀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이다.만성중이염은 중이에 염증이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중이염이 되면 중이의 염증으로 인해 진물이나 고름이 생성되고, 천공된 고막을 통해서 진물이나 고름이 흘러나올 수 있다. 그리고 고막이 천공되거나 뼈가 녹아버리면 소리의 전달이 잘되지 않아 청력이 떨어지게 되고, 청신경이 손상을 받으면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또 중이를 통해 안면신경이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안면신경이 자극을 받아 안면신경마비나 두통 등의...
귀를 해부학적으로 나눴을 때 귓바퀴에서 고막 직전까지를 외이(外耳),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를 중이(中耳) 그리고 소리를 듣게 해주는 달팽이관과 청신경, 평형감각을 돕는 반고리관을 합한 내이(內耳)로 구분할 수 있다. 중이에 위치한 빈공간을 고실 혹은 중이강이라고 하는데 소리자극이 전달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중이염은 이 중이강에 염증이 발생해 일어나는 질환을 총칭하는 말이다. 발현 시기와 임상 소견에 따라 크게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만성 중이염은 중이강과 유양동 내에 염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염증으로 고막에 구멍이 뚫리는 천공성 만성 중이염과 고막이...
귀가 먹먹한 느낌이 계속 지속되거나, 귀울림이 심하게 느껴지는 경우, 내 목소리가 평상시보다 크게 들리는 때가 있다. 이러한 증상들 때문에 혹시 돌발성 난청이 생긴 것은 아닌지 걱정하며 병원을 찾는 이들도 있는데, 이는 코와 귀를 연결하고 있는 이관인 유스타키오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이관개방증의 증상이다.정상적인 이관은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할 때, 입과 코를 막고 배에 힘을 주어 숨을 내뱉는 발살바법 등을 했을 때 열리게 된다. 그런데 신경의 이상, 림프액의 압력 문제, 주위 조직의 압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관의 연골 부위가 평상시에도 계속 열려 있다면 코 안과 귀 사이를 공기와 소...
일반적으로 소아과나 이비인후과에서 중이염을 진단받으면 항생제를 처방받는다. 대증치료로서의 항생제의 역할은 분명히 있고, 효과도 분명히 있다. 또한 항생제가 반드시 필요한 중이염도 분명히 존재한다.항생제는 세균 감염에 사용하는 약으로 세균 감염이 진행된 중이염에는 단연 항생제가 필요하다. 실제로 항생제는 증상 완화에 의미가 있고 항생제 투여로 인해 중이염 합병증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긍정적 요소를 갖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급성중이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으로 나타난다.드물게 세균 감염으로도 나타나지만 구분하기 어렵고 바이러스 감염 발생 후 이차적으로 세균감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중이염은 세균 감염 등에 의해 고막 안쪽에 물이 고이는 질환이다. 소아는 이관의 구조가 성인과 달리 짧고 굵으며, 수평으로 있어 중이염이 발생하기 쉽다. 3세 이하 소아의 60%가 한 번 이상 앓게 되며, 한 번 걸리면 반 이상은 3번 이상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영유아 청력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만큼 올바른 관리가 필요하다.급성 중이염은 먹먹한 느낌과 함께 통증을 유발한다. 이 때문에 아이는 귀를 반복적으로 잡거나 보채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반면, 삼출성 중이염은 통증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알아채기 어렵다. 삼출성 중이염이 3개월 이상 만성화될 경우,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 바로 ‘난청’이다...
소아중이염은 귀 고막 안쪽, 중이라는 곳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환자는 주로 2~5세가 흔하다.엄마의 면역세포를 담고 나온 아기는 돌 이후부터 스스로 면역체계를 만들어 간다. 이 과정에서 감기 바이러스에 자주 노출되면 감기에 걸리고, 흔한 합병증으로 소아 중이염이 나타나게 된다.급성일 때는 열과 귀의 통증, 귀에 물이 차는 증상이 나타난다. 문제는 만성으로 진행됐을 때다. 3개월 이상 중이염이 지속되거나 2달 이내 자주 재발하는 경우로, 미열이 잠깐 나타나기도 하지만, 없는 경우도 있다. 또 서서히 귀에 물이 차기 때문에, 아이들이 귀가 ‘먹먹하다’고 정확히 느끼지 못하고 지나치기 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