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서 목에 부담을 호소하는 이가 많아지고 있다. 겨울철 목에 부담이 가는 자세는 목, 어깨의 통증과 함께 손의 저릿한 느낌을 동반한다. 만약 해당 증상이 지속된다면 ‘목디스크(경추추간판탈출증)’를 의심해봐야 한다.목디스크란 경추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조직인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파열하면서 신경을 누르며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한 디스크가 돌출되면 목이나 팔로 가는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염증, 저림 증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심한 경우 손가락의 감각이 둔해져 글씨를 쓰는 것조차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 경직된 근육이 뇌로 향하는 혈관을 수축시켜 두통이 발생하기도 한
박성철 서울부민병원 교육연구실장이 지난달 27일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CJ홀에서 진행된 “2024 SNU Orthopaedic Update(II): SPINE 심포지엄”에 연자로 참여했다고 밝혔다.박성철 교육연구실장은 두 번째 세션 “Endoscopic spine surgery by the young guns” 에서 ‘추간공병변의 척추내시경적 치료법’을 주제로 척추내시경 수술의 적응증, 수술 기법과 치료 결과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직접 집도한 척추내시경 수술 영상을 공유하며 치료 과정과 효과를 입증해 참석자들의 많은 관심을 이끌었다. 박 실장은 "척추내시경 수술은 단 한개의 1cm 미만 크기의 피부 절개를 통해 다양한 디스크 및 협착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특히 수술 후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문종호 교수팀(이윤나·신일상 교수)이 기존 내시경 방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악성 담도 협착 환자에게 시행하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간위루술을 위한 ‘전용 금속 배액관’을 개발하고, 우수한 임상 결과를 입증했다고 28일 밝혔다.소화를 돕는 담즙을 운반하는 통로인 담도에 암이 자라 담즙의 이동 경로를 막게 되면 황달과 염증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이러한 악성 담도 협착을 치료하기 위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시행하는데, 담도가 매우 가늘고 우리 몸속 가장 깊숙한 곳에 있다 보니 협착이 심하거나 수술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기존 시술 방법으로...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외출과 야외활동이 제한되면서 건강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재택근무와 온라인 강의를 하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과 학생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목과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특히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거나 몸을 비스듬하게 기대는 등 바르지 못한 자세를 지속할 경우 하중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면서 골반 변형과 허리디스크와 같은 척추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허리디스크는 의학용어로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 불리기도 하며,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추간판)가 튀어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원인...
손목터널 내부에는 손의 감각과 기능을 관장하는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터널 위에는 횡수근인대가 있다. 목수, 헤어 디자이너, 간호사, 교사, 생산직 엔지니어, 전업주부처럼 손목을 반복적으로 힘주어 사용하다 보면 인대가 두꺼워지고 무겁게 되면서 터널 내부의 정중신경을 압박해 발생하는 것이 손목터널증후군이다.따라서 손목터널증후군은 일반 정형외과에서 다루는 인대, 힘줄, 뼈와 달리 손상 후 치료적기를 놓치게 되면 망가진 신경이 회복되지 못해 후유증을 남기므로, 영상의학 검사와 전기적 검사를 통해 중등도 이상으로 진단되면 빠른 수술이 필요하다.손목터널증후군을 수술로 치료한다는 것이 생소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의료 ...
내시경 술기의 발전으로 고난이도 질환을 내시경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소화기내과 박세우 교수는 최근 악성담관폐쇄로 수술이 불가능한 급성담낭염 환자들에게 담낭과 십이지장을 잇는 최고난이도 내시경치료에 성공했다.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이하 ERCP)은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라고 하는 작은 구멍을 통해 담관과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병변을 관찰하는 검사법이다. 또한 이러한 진단적 목적 외에도 담관 내 담석증과 같은 담관 및 췌관계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