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위암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복막으로 전이된 위암 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복강 내 고용량 파클리탁셀 병용 요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유럽 외과종양학회지(European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병원측은 밝혔다.연구진은 복강 내에 고용량 항암제(파클리탁셀)와 전신 SOX 화학요법(S-1+옥살리플라틴)을 병행해 사용한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6개월 무진행 생존율은 82.6%로, 이는 기존의 전신 항암화학요법 대비 약 2.7배 더 높은 효능을 보였다.복막 전이는 위암 4기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하며, 중앙 생존기간이 불과 11개월에 그친다. 이번 연구는 이런
국내 연구진이 위암의 복막전이 경로에 따른 특이적 유전자 발현 패턴을 규명하고, 위암 세포 주변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암연관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 CAF)가 위암의 복막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위암은 혈행성, 복막, 난소 등 다양한 전이 경로를 갖고 있으며, 전이로 인해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치료 성과를 높이려면 예후와 재발 위험성을 예측해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위암의 원발 종양에서의 유전자 발현에 따른 분자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위암의 전이 경로에 따른 전이 종양 특이적 유전자 발현 패턴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이에 순천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