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7일 15시 서울스퀘어 3층 대회의실에서 비혼 동거‧출산 등 다양한 가족에 대한 정책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 필요 사항 등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및 정책수요자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원장, 송효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본부장, 변수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김민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등 관련 분야 전문가 및 비혼 출산으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정책 수요자가 참여했다. 우리나라의 비혼출산(혼인 외의 출산) 비율은 2019년 2.3%에서 2023년 4.7%로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프랑스(65.2%, 2022년)나, 스웨덴(57.8%, 2022년
미혼 여성 직장인 이모씨는 결혼계획은 없지만, 자신을 닮은 아이를 낳아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것이 꿈이다. 이씨는 고민 끝에 난자냉동시술을 받았고 6개의 난자를 채취하였다.늦게 결혼하는 만혼이나 결혼을 아예 하지 않는 비혼이 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이를 바라는 여성도 많다. 몇 해 전 방송인 ‘사유리’씨가 비혼으로 정자은행을 통해 아이를 얻으면서, 이 같이 의학적 방법으로 아이를 얻으려는 여성들의 문의가 늘었다. 하지만 직장생활 등의 이유로 가임기 시기에 임신을 파하는 대신 ‘난자냉동’을 통해 적정한 시기에 아이를 가지겠다는 여성도 많다.난자냉동 등을 통해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경우는 난소기능 저하, 자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