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와 엉덩이 부위에 통증이 지속되고 다리 저림 증상이 동반될 경우, 많은 사람들이 허리디스크를 의심한다. 하지만 통증이 엉덩이 부위에서 시작되며, 앉거나 계단을 오를 때 심해진다면 ‘이상근증후군’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상근증후군은 엉덩이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비대해지면서 좌골신경을 압박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상근은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고관절을 고정하고 움직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긴장하면 좌골신경이 눌려 엉덩이와 허벅지 뒤쪽, 종아리, 발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근증후군은 증상이 허리디스크와 유사해 혼동하기
5월 6일은 ‘세계 강직성 척추염의 날’이다. 척추 마디가 굳어지는 강직성 척추염은 류마티스 인자가 음성인 ‘혈청음성 척추관절병증’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엉덩이의 천장관절과 척추관절을 특징적으로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강직성 척추염(질병코드 M45)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7년 41,797명에서 2021년 51,106명으로 5년 새 22%가량 증가했다.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2.5배 많았으며, 특히 20~40대가 56%를 차지해 젊은 남성층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out, 강직성 척추염강직성 척추염은 방치하면 등이 굽고 목이 뻣뻣해지는 질환으로 주로 20~40대 남성에서 많다.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