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에서 3회 연속 우수기업연구소로 지정됐다고 6일 밝혔다.시지바이오는 골 및 연골 재생을 위한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왔으며, 이번 우수기업연구소 지정 역시 이러한 연구개발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대표적인 연구 성과로는 골형성 촉진 단백질을 포함한 다공성 세라믹 골이식재 ‘노보시스 OS’ 상용화, 위험성이 높은 척추 유합술(척추 뼈를 고정해 붙이는 수술) 부위에 적합한 세라믹 캐리어 기반 ‘노보시스 퍼티’ 개발 및 일본 ‘니혼조끼’사와 기술이전 협력, 생체활성결정화유리를 활용한 척추 유합술용 ‘노보맥스 퓨전
아이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3년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에 선정됨에 따라 장관 명의의 지정서를 수여 받았다고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아이진은 이후 3년간 기업 홍보 지원과 정부 포상 및 국가 R&D 사업 시 가점 부여 등의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종합 심사 결과에 따르면 아이진 부설연구소는 연구개발 역량이 탁월하며, 기술혁신 의지 및 활동이 우수한 R&D 역량 보유 기업 연구소로 평가 받았다.현재 아이진의 주력 R&D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EG-R'은 아이진이 자체 개발한 양이온성 리포좀 구조의 mRNA 전달체 플랫폼 기술로서, 새로운 바이러스와 변이 출현 등의 ...
미소정보기술(대표이사 안동욱)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하는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를 통한 가치 창출이 우수한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의 엄정한 심사를 통과해 2020년 우수기업연구소 지정 이후 2연속으로 2023년도 하반기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으로 기술력을 또 한번 인정받았다고 30일 밝혔다.‘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는 기업R&D의 근간이 되는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타 기업부설연구소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선도모델을 육성할 목적으로 2017년에 도입되었다.지정대상은 R&D 역량이 우수하고, 기술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거나 잠재력이 높아야 한다. 또한 R&D 전주기 관점의 체계적인 기술...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자사의 ‘의약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가 주최하는 '2023년 상반기 우수기업연구소'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우수기업연구소 지정제도는 기업 연구개발(R&D)의 근간인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입된 제도다. 대웅제약은 연구개발 역량이 탁월하고 기술혁신 활동 등에서 우수한 공적을 인정받았으며, 핵심보유기술·연구인력·연구환경 항목 등에서 자가진단 및 분야별 전문가들의 3단계 심사 결과 우수 기업연구소로 선정됐다고 전했다. 우수 기업연구소 지위는 향후 3년간 유효하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 선정 우대, 정부 포상기회 확대 등 인센티브...
넥스트바이오메디컬(대표이사 이돈행)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3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 주관기업’에 선정되었다고 12일 밝혔다.선정배경은 ‘속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재’ 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가다.'ATC+(Advanced Technology Center)'는 중소·중견기업 부설연구소에 연구개발(R&D) 역량 향상을 지원·육성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연구소 성장 가능성과 기술사업화 역량을 중점 평가하며 올해는 신정부의 국정과제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AI, 혁신 바이오헬스 기술 등 미래전략사업분야의 과제를 집중해 선정했다.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이번 사업 선정으...
바이오에프디엔씨(대표이사 모상현, 정대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2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의 지원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이번 사업의 총 사업비는 정부출연금 23억원을 포함한 33억5227만원이며, 바이오에프디엔씨는 2025년 말까지 지원 받은 연구개발비를 활용해 ‘식물세포기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성장인자와 항체의약품 개발 및 향 소재 제품의 글로벌 진출’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회사 측에 따르면 해당 과제는 식물세포 기반 항체 개발을 위한 식물세포주 구축, 기능성 생리활성물질과 성장인자 단백질의 대량생산공정 확립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회사의 핵심 기술이자 고주파 활용 식물...
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2년도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에 자체 연구개발 중인 ‘평균분자량 1000kDa 이상의 고분자량 의료용 폴리뉴클레오티드(PN) 생산기술개발을 통한 골관절염주사제 및 창상피복재 응용제품 개발’ 과제가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휴메딕스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4년간 약 20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의료용 PN 생산기술 국산화를 추진하고, PN을 이용한 복합 관절주사제, 창상피복재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제품의 최적화된 효능·효과를 밝히기 위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과 공동 연구도 진행한다.휴메딕스 관계자는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ATC+)...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1년도 하반기 우수기업연구소’로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우수기업연구소 지정 제도는 기술혁신 활동이 탁월한 기업연구소를 발굴·육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2017년 도입된 제도다. 우수기업연구소로 선정될 경우, 지정일로부터 3년 간 우수기업연구소 선정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개발 과제 추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시 가점 부여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회사에 따르면 시지바이오는 성장인자와 다양한 생체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지지체 제조와 관련된 핵심기술에 대한 역량을 인정받아 우수기업연구소로 선정되었으며, 2018년도 상반기에 이어...
비보존(회장 이두현)은 지난 21일 자사 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기업연구소(Excellent Corporation R&D Center, ECRC)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우수기업연구소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정하며 기술혁신 역량이 우수하고 기술사업화 성과가 탁월한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기업의 경영현황부터 재무건전성, 기술개발 및 사업화 현황, 인증 및 지적재산권 등 R&D 기업으로서 모든 분야를 진단해 우수기업연구소를 평가하고 있다.비보존은 비마약성 진통제 VVZ-149를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하는 혁신 신약 연구 개발 기업이다. 핵심 기술로는 △여러 타깃에 동시에 작...
엠디뮨이 21일 우수기업 연구소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우수기업 연구소 지정제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업 연구개발의 성장을 목적으로 기술혁신 역량이 우수하고, 기술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거나 잠재성이 높은 기업연구소를 선정하는 제도이다.엠디뮨은 기업부설연구소가 보유한 R&D 역량을 검증하는 자가진단을 통과하였고,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평가위원으로 참여하여 진행하는 발표평가, 현장평가, 종합심사의 3단계 평가과정을 거쳐 핵심 기술개발과 기술 사업화에 앞장서고 있는 연구소로 최종 선정되었다고 전했다.회사측에 따르면 엠디뮨은 압출 엑소좀 기반의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인 ‘바이오드론(BioDron...
㈜덴티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우수기업연구소(Excellent Corporation R&D Center, ECRC)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우수기업연구소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운영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정하는 제도다.기술혁신의 경쟁력과 질적 성장 견인의 잠재력을 평가하여 R&D 역량이 우수한 기업연구소를 지정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이에 기업의 경영현황부터 재무건전성, 기술개발 및 사업화 현황, 인증 및 지적재산권 등 R&D 기업으로서 모든 분야를 진단하여 평가하고, 현장심사 및 종합심사를 거쳐 검증된 기업들을 선정한다.매년 2회차에 걸쳐 중견 및 중소기업들 중 R&D 역량이 뛰어나고 기술혁신 의지 및 활동이 적극적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