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이 손상돼 시야 결손과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녹내장은 대표적인 진행성 안과 질환이다. 주로 안압 상승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어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녹내장은 높은 안압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환자의 약 70~80%는 안압이 정상 범위 내에 있음에도 발병하는 '정상 안압 녹내장'으로 나타난다. 이는 시신경의 혈류 장애, 유전적 요인, 고혈압, 근시,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녹내장은 주변 시야가 서서히 좁아지는 양상이 주를 이루며, 환자가 이를 자각하지 못한 채 질환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말기에는 터널을 통해 세상을 보는 것처럼 시야가 좁아지며, 급성 녹내장의 경우에는 안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시력 저하와 함께 두통, 안통, 빛을 보면 달무리가 생기는 증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정현 잘보는성모안과 대표원장
이정현 잘보는성모안과 대표원장
정상 안압 녹내장의 특성상 시신경 손상이 일정 수준을 넘기 전까지는 시력이나 시야의 변화를 느끼기 어려워, 정기 건강검진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녹내장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녹내장 진단은 안압 측정, 시야 검사, 시신경 단층 촬영(OCT), 초음파 각막 두께 측정 등 다양한 정밀 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이 중 시신경 단층 촬영은 손상의 초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데 유용하다.

치료는 기본적으로 점안약을 통해 안압을 낮추는 것이 원칙이다. 필요 시 레이저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방수의 배출을 돕는 방법이며, 레이저 홍채 절개술은 홍채에 구멍을 뚫어 방수의 유출 통로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섬유주 절제술과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이 적은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녹내장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40세 이상이거나 근시, 녹내장 가족력, 고안압,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의 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1년에 한 번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글 : 이정현 잘보는성모안과 대표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