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혜부탈장 비율 높고 여성보다 남성 환자 많아
심한 기침, 지나친 복압 상승, 무리한 근력운동 원인
탈장 중 가장 많은 것은 서혜부탈장이다. 서혜부탈장은 전체 탈장의 70%를 차지하며 남성에게서 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혜부탈장 환자는 5만4000여명이었으며 남성이 4만8000명, 여성은 6200명이었다. 특히 연령대별로는 60~79세의 중장년, 노년층이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 환자도 많았다.
서혜부는 다리와 몸통이 만나는 부분이다. 직립 상태 또는 복압이 올라가면 많은 압력을 받는다. 굵은 혈관이나 신경들이 몸통에서 다리로 빠져나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소아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탈장은 과도한 복강 내 압력 상승이 원인이다. 무리하게 근력운동을 하거나 역기, 바벨운동 등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특히 중년층 이후부터는 복벽이 약해져 심한 기침, 무거운 짐을 드는 등 복압이 높아질 때 서혜부탈장이 발생하기 쉽다. 복부에 근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당 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운동을 하는 것은 탈장 위험을 높인다. 간경화로 인한 복수, 흡연, 과체중도 탈장을 유발할 수 있다.
서혜부탈장이 발생하면 사타구니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호소한다. 덩어리가 만져지지 않지만 한쪽 사타구니에서 불편함이 느껴지기도 한다. 부드럽고 둥근 표면을 가진 덩어리가 튀어 나와 힘을 주면 더 두드러진다. 탈장을 진단하는 주요 검사는 서 있는 상태에서 기침을 하거나 변을 볼 때처럼 배에 힘을 주도록 해 서혜부를 촉진하는 것이다.
치료는 보통 수술적 방법으로 이뤄진다. 수술로 탈장된 부분을 막아 교정하지 않으면 완치가 어려워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 서혜부탈장 수술은 탈장낭을 제거하거나 묶고 후복벽을 보강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세란병원 복부센터 고윤송 센터장은 “탈장은 무조건 수술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최근에는 수술 이후의 흉터와 통증 등을 감안해 수술 부위를 절개하지 않는 복강경 수술이 널리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 센터장은 “서혜부탈장은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고 누우면 다시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라며 “수술 후에는 되도록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하며 변비나 심한 기침에 대한 철저한 치료가 탈장의 재발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