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찾아오자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땅이 기지개를 켜듯 우리 몸도 활력을 되찾을 준비한다. 계절이 바뀌며 찾아오는 피로, 입맛 떨어짐, 춘곤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음식이 있다. 바로 ‘봄나물’이다. 봄나물은 오랜 시간 ‘제철 보약’이라 불리며 사랑받아 왔다. 나물에는 비타민, 무기질,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체내 해독을 도우며 면역력까지 끌어올리는 힘이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간 건강과의 연관성이다. 간은 체내 독소를 처리하는 중요한 장기인데 기능이 저하되면 쉽게 피로해지고 면역력도 떨어진다. 봄철 나른함과 춘곤증 역시 간 기능 저하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이때 해독 효과
입춘(立春)이 찾아오며 겨울의 긴 추위가 물러가고 봄의 기운이 서서히 퍼지기 시작했다. 입춘은 24절기의 첫 번째로,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는 자연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새로운 에너지를 채우고 한 해의 건강관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로 여겨진다.전통적으로 입춘에는 '오신반(五辛盤)'이라 불리는 다섯 가지 봄나물을 먹으며 건강과 복을 기원해왔다. 궁중에서는 이를 임금에게 진상하며 풍요로운 한 해를 바랐다고 전해진다. 오신반에 포함되는 나물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주된 목적은 한 해의 건강 증진과 행복을 비는 데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대표적인 오신반 나물들의 효능을 통해 건강 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매년 봄나물과 유사한 독초를 잘못 채취‧섭취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이 줄지 않고 있다며 봄나물의 채취 및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안내했다.지난 10년 동안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섭취하여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25건(86명)으로 이 중에는 사망사례(3명)까지 있었으며 사고는 주로 봄철인 2월에서 5월 사이에 많이 발생했다.이처럼 봄철에 독초로 인한 식중독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봄에는 꽃이 피기 전 싹이 돋아나는 시기이므로 봄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봄나물로 오인‧혼동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독초들과 그 구별법 등은 다음과 같다.보드랍고 담백한 맛이 나는 ‘원추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3월 5일부터 19일까지 15일간 도매시장, 마트 등에서 유통?판매되는 봄나물 334건과 도로변 등 야생 봄나물 122건을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봄나물 7건에서 농약 잔류허용 기준보다 높게 검출되었다고 밝혔다.이번 점검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봄철 자주 섭취하는 냉이, 쑥, 미나리, 취나물, 달래 등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실시하였다.검사 결과는 미나리, 돌나물 등 5종 봄나물에서 프로사이미돈 등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부적합 제품은 관할 행정기관에서 압류?폐기 조치하였으며, 해당 제품을 생산한 생산자에 대해서는 관계기관을 통해 생산지 안전관리를 실시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