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의 객관적인 새 진단 기준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제시됐다는 소식이다.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은 최근 김영욱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상근 증후군의 객관적인 새 진단 기준을 제시한 연구논문을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이상근 증후군은 고관절에 위치한 근육인 이상근이 비정상적으로 긴장하거나 부어오르며, 바로 아래의 좌골신경을 자극하거나 압박해 통증과 저림 등의 증상이 유발되는 상태다. 이 질환의 진단을 위해 기존에는 의사가 직접 통증 양상, 자세, 걸음걸이 등을 확인하고 고관절 부위의 압통 검사 또는 움직임 검사 등을 수행했다. 김영욱 교수는 “다만 의료진 마다 이상근
허리디스크(요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좌골신경통 등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수술을 받은 뒤에도 통증이 재발 또는 지속되는 것을 ‘척추수술실패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 FBSS, 또는 척추수술후통증증후군)이라고 한다. 전체 척추수술 환자의 10~40%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원인은 척추간판의 재탈출, 신경공(척추에서 사지로 신경이 빠져나가는 길목)의 협착, 외측 함요부(신경근이 신경근막과 뇌척수액에 둘러싸인 공간)의 협착, 경막외 반흔, 지주막염 등이다. 드물게 척추후관절의 아탈구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략 척추수술을 받은 환자의 15%에서 나타나는 이 증후군은 요통 및 하지의 방사통이 척추수술 부위와
좌골신경통은 허리에서 시작해 다리로 뻗치듯 아픈 증상이 특징으로, 허리디스크를 먼저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손병철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좌골신경통의 또 다른 원인으로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를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좌골신경통은 좌골신경과 관련된 부위인 엉덩이, 종아리, 발 등에 나타나는 통증이다. 이상근 증후군은 좌골신경이 이상근에 의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인 허리디스크와 달리 허리보다는 엉덩이와 둔부(엉덩이 아래쪽)에서 통증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이상근 증후군만의 증상을 찾기 위해 많은 연
허리와 엉덩이 부위에 통증이 지속되고 다리 저림 증상이 동반될 경우, 많은 사람들이 허리디스크를 의심한다. 하지만 통증이 엉덩이 부위에서 시작되며, 앉거나 계단을 오를 때 심해진다면 ‘이상근증후군’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상근증후군은 엉덩이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비대해지면서 좌골신경을 압박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상근은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고관절을 고정하고 움직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긴장하면 좌골신경이 눌려 엉덩이와 허벅지 뒤쪽, 종아리, 발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근증후군은 증상이 허리디스크와 유사해 혼동하기
평소 책상에 앉아 컴퓨터 작업만 하는 직장인 A씨는 한 달 전부터 경미한 허리통증이 있었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약국에서 파스를 구매해 붙이기만 했다. 하지만 최근 허리뿐만 아니라 엉덩이, 다리까지 통증이 발생하고 저림 증상도 심해졌다. 허리 디스크일지도 모른다며 치료를 해야 한다는 주변 동료들의 성화에 가까운 병원을 찾은 A씨는 허리 디스크가 아닌 이상근증후군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이다.척추 끝부분에 위치한 커다란 삼각형 모양의 엉덩이뼈 표면부터 허벅지뼈 상부 말단까지 이어지는 근육을 이상근이라고 한다. 이상근은 고관절과 다리를 연결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주로 신체 중심에서 멀어지는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