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를 잃은 후 가장 현실적인 치료 방법으로 손꼽히는 임플란트는 기능성과 내구성 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지만, 비용 문제로 치료를 망설이는 환자들이 여전히 많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경제적인 이유로 치료를 미루거나 틀니로 대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이에 정부는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보험 임플란트' 제도를 시행해왔고, 일정 조건 내에서 본인 부담금을 줄여주는 방식으로 부담을 낮춰왔다. 하지만 기존 보험 임플란트의 보철 재료는 대부분 PFM 크라운(도재전장관)으로 한정돼 있다. 씹는 기능은 충분했지만, 심미성이 보다 떨어지고, 외부 포세린이 깨져 나가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 한계가 있다.이러한 실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