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손상되거나 닳아없어져 관절에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연골은 관절 사이에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차 손상되어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최근 20~30대 젊은 층에서도 퇴행성 관절염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무리한 운동이나 비만, 잘못된 생활 습관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초기에는 주로 체중이 실렸을 때만 통증이 발생한다. 가령 걷거나 뛰는 동작을 할 때는 통증이 발생하지만, 쉬는 동안에 통증이 사라진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초기 환자들은 통증을 대수롭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되면 움직임과
중기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무릎 골관절염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 주사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인정돼 무릎 관절염의 비수술 치료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무릎 골관절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관절강내 주사’를 신의료기술로 승인·고시했다. 시술 방법은 말초 혈액을 채취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한다.무릎 관절염의 경우 연골이 모두 닳아 관절뼈끼리 부딪쳐 통증이 심한 말기에 이르면 인공관절 수술 외에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다.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