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비대증은 중년 이후 남성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립선이 비대해지면서 배뇨 장애를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질환의 진단과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바로 PSA(Prostate-Specific Antigen) 수치다. PSA 수치는 전립선암의 선별 검사로 주로 사용되지만,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도 증가할 수 있어 이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PSA 수치는 전립선의 상태를 반영하는 혈액 검사 수치로,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4.0 이하로 간주된다. 하지만 전립선비대증이 진행되면 전립선 조직이 커지면서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PSA 수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암을 의심하기보다는, 정기적인
전립선암은 세계적으로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2023년 사이 전립선암 환자는 39.6%가 늘어 전체 암 중에서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전립선암뿐만 아니라, 전립선비대증 또한 10년간 30%가 넘게 발병률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그런데, 가파르게 환자가 치솟고 있는 전립선암은 사실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PSA검사란 전립선의 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단백분해 효소로 전립선 이외의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전립선암의 선별에 이용되는 유용한 종양표지자이다. 일반적으로 체혈을 통해 검체가 가능하며, 채혈 전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