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 통증외에도 신경 손상까지 유발... 증상 지속 시 의료진 상담 필요
목디스크는 경추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는 추간판이 돌출돼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추간판은 젤리 같은 수핵과 이를 감싸는 섬유륜으로 구성돼 있는데, 나쁜 자세나 노화로 인해 섬유륜이 손상되면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한다.
목디스크의 주요 증상으로는, 초기에는 단순한 뻣뻣함이나 통증으로 시작되지만, 점차 신경을 압박하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목과 어깨 통증은 주로 한쪽이 더 아프며, 팔에 저린 통증이 생긴다. 목디스크로 신경 압박이 심한 경우는 팔이 힘이 빠지고 감각이 둔해지는 신경 마비 증상이 나타나고 흔히 젓가락질이나 단추 채우기 같은 섬세한 작업이 어려워진다.
목디스크 치료는 보통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한다. 우선 비수술적 치료는 초기 단계에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입)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경 손상이 심하거나 근력 약화가 진행될 경우 미세현미경 디스크 제거술이나 인공디스크 치환술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수술과 내시경을 이용한 척추 수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목디스크를 치료하고 있다.
목디스크는 단순한 통증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신경 손상이 진행될 위험이 있다. 만약 지속적인 목통증이나 손 저림,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있다면 신경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권고된다.
조정기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목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볼 때 고개를 앞으로 내미는 습관을 피하고, 눈높이에 맞춰 사용해야 한다”며, “하루 2~3회 목과 어깨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으로 경추를 유연하게 해주며, 취침 시 너무 높은 베개는 목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경추를 자연스럽게 받쳐주는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