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들의 관심, 퇴행성관절염 조기 진단과 치료에 도움

걸을 때 무릎 안쪽에 힘을 많이 받게 돼 퇴행성 관절염이 안쪽부터 진행되는데, 아프지 않게 걸으려 걷는 자세를 변형하다 보면 내측 관절염을 유발하고, 이는 내측 관절의 연골만 비정상적으로 닳게 되는 O자 변형을 가속화시킨다. 곧았던 다리가 O자로 변형됐거나 O다리 변형이 심해졌다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연골 손상을 의심해봐야 한다.
부모님이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걸을 때 통증을 느끼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선반이나 의자 등을 잡고 일어난다면 퇴행성관절염일 가능성이 높다. 또 걸음걸이가 불편해 보이고, 무릎이 자주 붓거나 이동속도가 전보다 느려졌다면 이 역시 퇴행성관절염의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연골 손상이 내측으로만 진행된 경우라면 근위경골절골술을 통해 휜다리 교정 및 관절염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연골 손상이 심한 말기 관절염으로 진행된 경우라면 인공관절 치환술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정구황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장 원장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 중에는 무릎 통증을 ‘나이 들면 생기는 병’이라고 치부해 통증을 방치하거나 혼자서 고통을 참다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만성적인 무릎 통증은 외부 활동에 제한을 주기 때문에 심혈관계 질환이나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족들의 관심은 조기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며 “어버이 날이 지나고 나면 부모님을 모시고 병원을 찾는 자녀들이 늘어난다. 고령사회에서 노년기 건강은 자신뿐 아니라 가족의 행복을 좌우하는 만큼 자식들 부담될까 아픔을 참기 보다는 무릎 건강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했다.
어버이날을 앞두고 부모님 댁을 방문할 계획이라면 함께 산책을 하면서 부모님의 걸음걸이에 이상이 없는지, 무릎이 평소보다 부어 있거나 통증은 없는지, 무릎이 O자로 휘어 있는지 살펴보길 바란다. 어버이날, 부모님들에게 가장 좋은 선물은 자식들의 관심이 아닐까?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