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단은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교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인공아체세포 유도기술을 바탕으로 한 퇴행성·난치성 질환 치료 가능성을 모색하고,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인공아체세포는 도룡뇽 등 양서류의 조직 재생 능력을 모사해 포유류에서도 조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첨단 재생의료 기술이다.

행사에서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조인호 단장의 재생의료 전략 발표와 문한림 메디라마 대표의 기초·임상 연계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 본 사업단의 연구책임자들이 인공아체세포 유도인자 발굴, 장기 특이적 재생기술, 생체 내 직접 리프로그래밍 등 주요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교류회」 포스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교류회」 포스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도전적 연구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제정된 ‘인공아체세포 길잡이 펭귄상’은 동국대 김종필 교수팀과 포항공대 이찬웅 박사과정생이 각각 수상한다.

이어지는 패널 토의에서는 인공아체세포 기반 치료제의 연구개발 전략과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허정임 단장은 “이번 교류회는 미래 재생의료 패러다임을 여는 협력과 혁신의 장이 될 것”이라며 “인공아체세포 기술이 난치성 질환 치료의 돌파구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