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혈관연구재단이 주최하고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후원하는 제30회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TCTAP 2025)가 오는 23일부터 26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특히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한 만큼 그간의 역사와 성취를 되돌아보는 행사와 학회의 발전에 기여한 세계적인 심장학 명사들의 축사가 예정돼 있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TCTAP)’는 1995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약 50개국 3000여 명의 심장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표적인 국제학술행사이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관상동맥 중재시술, 혈관 내 치료, 구조적 심장 및 판
흔히 스텐트 시술이라 하는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평생 챙겨 먹는 약으로 아스피린 보다 클로피도그렐이 재발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현재 미국 치료 지침은 PCI 후 6개월에서 1년 동안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클로피도그렐 포함)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DAPT)를 권장하고, 이후에는 평생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복용하라고 안내한다. 둘다 혈소판의 응고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한주용·송영빈·최기홍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박용환 삼성창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의학계 저널 중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가장 높은 ‘란셋 Lancet (IF 98.4)’ 최근호에
온병원 심혈관센터와 부산대병원 의료진이 협력해 오른쪽 관상동맥 완전폐색(CTO) 환자 세 명에게 초고난도 중재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두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됐다고 병원측은 설명했다.지난 21일, 이현국 온병원 심혈관센터장과 전국진 부산대병원 교수팀은 40대와 50대 남성 환자 세 명에게 각각 고난도 시술을 진행했다. A씨(40대)는 고혈압과 20년간의 흡연력으로 발생한 협심증으로 치료를 받던 중, 만성 폐색된 오른쪽 관상동맥에 '역행적 시술'로 스텐트를 성공적으로 삽입받고 퇴원했다. B씨(40대)는 고지혈증을 앓고 있었으며, 심장수술을 권유받았으나 시술을 통해 완전폐색된 오른쪽 관상동맥을 치료
대한심혈관중재학회는 지난해부터 ‘저저익선 365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한 관상동맥질환 환자 수기 및 재발 예방 수칙 콘텐츠 공모전을 성황리에 마무리했으며, 지난 1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학회 정기총회에서 수상자들을 초청,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수상자들은 수기 및 콘텐츠 부문별로 각각 최우수상(수기/콘텐츠 각 1명), 우수상(수기 2명, 콘텐츠 2팀), 가작(수기 3명, 콘텐츠 1명 및 2팀)을 받았다.학회는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 등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질환을 극복한 내용이 담긴 수기 공모전과 함께,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예방 수칙을 쉽게 설명하는 콘텐츠 공모전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인하대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9차(2021년)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하며 우수한 의료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년 동안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전국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92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평가 항목에는 수술 건수,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퇴원 30일 내 재입원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등이 포함됐다.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진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에게 시행되는 고난도 수술이다. 숙련된 의료진과 체계적인 환자 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경우, 혈관을 일부 떼어내 막히거나 좁아진 관상동맥의 우회로를 만드는 고난도 수술이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44개소와 종합병원 48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됐다.주요 평가 내용은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률,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에 의한 재수술률,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퇴원
삼육서울병원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 9차 관상동맥우회술(CABG)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로써 삼육서울병원은 지난 2016년부터 7회 연속 1등급을 받게 됐다고 설명했다.관상동맥우회술이란 심장질환 사망 원인의 절반을 차지하는 허혈성 심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하며 좁아지거나 막힌 관상동맥 부위를 우회해 혈액이 통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주는 수술을 말한다. 이번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심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했다.주요 평가내용인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건수, 내흉동맥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질 경우 대체 혈관으로 우회로를 만들어 심장으로 혈류를 공급하는 고난도 심혈관 수술이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92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은 1등급을 받아 심혈관 질환 치료 우수 의료기관임을 인정받았다. 평가는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률, 퇴원 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9차 관상동맥 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5회 연속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관상동맥우회술은 급성심근경색, 협심증 등 허혈성심질환 환자의 좁아진 관상동맥에 우회로를 만들어 심장 근육으로 흐르는 혈류를 개선시키는 수술로, 고난도의 전문성과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주요 평가지표는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률,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로 수술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지난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2021년)에서 6회 연속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전국 종합병원에서 심근경색 및 협심증 등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시행된 관상동맥우회술을 대상으로 진행됐다.관상동맥우회술은 협착된 관상동맥을 우회하는 혈관을 형성하여 혈류를 회복시키는 정교한 수술로, 심장 혈관이 좁아지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주요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다.평가 지표는 총 8개로 관상동맥우회술 총수술 건수, 단독 수술 건수, 내흉동맥을 이용한 수술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
부산대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경우 혈액이 다른 쪽으로 통할 수 있도록 대체 혈관을 만드는 수술이다. 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전국의 92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했다.평가 내용은 관상동맥우회술 수술 건수, 효과적인 수술 혈관 사용 여부, 퇴원 시 필수 약제(항혈소판제) 처방,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한 재수술률, 사망률, 재입원율, 입원일수 등 총 7개 지표다.특히, 부산대병원은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분당제생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아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관상동맥우회술 진료와 치료에서 전문성을 인정 받았다고 밝혔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시행한 이번 평가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92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년 동안의 관상동맥우회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8652건에 대한 조사로 이뤄졌다.평가지표는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률,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 수술 후 입원일수 등 평가
강릉아산병원은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이번 평가는 허혈성심질환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92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021년 10월부터 작년 9월까지의 진료분을 분석했다.주요 평가 지표는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률,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30일 내 사망률, 퇴원 30일 내 재입원율, 수술 후 입원일수로, 강릉아산병원은 모든 지표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 1등급을 획득했다고 설명했다.관상동맥우회술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4회 연속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CABG)을 실시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다.주요 평가 항목은 수술 건수,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률, 퇴원시 항혈소판데 처방률, 수술 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30일내 사망률, 퇴원 후 30일내 재입원율, 수술 후 입원 일수 등으로 성빈센트병원은 모든 평가지표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아 1등급 의료기관에 이름을 올렸다.한편, 성빈센트병원은 지역 중추 의료기관으로서 안전한 진료환경과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이 지난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발표한 ‘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6회 연속 1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92개소(상급종합병원 44개소, 종합병원 48개소)를 대상으로 평가했다.이번 평가에서 부산백병원은 종합점수 결과 95.72점(전체 평균 94.9점)으로 1등급을 획득했다.주요 평가내용은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률,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수술 후 출혈 또는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지난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공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일산백병원은 종합점수 97점을 받아, 심장수술 우수병원임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관상동맥우회술은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 심장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환자에게 시행한다. 환자의 다른 혈관을 이용해 관상동맥의 우회로를 만들어 혈류를 원활하게 해주는 고난도 심장 수술방법이다.심평원은 92개 기관(상급종합병원 44기관, 종합병원 48기관)을 대상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년간 허혈성심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했다.평가 지표로 관상동맥우회술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의정부을지대병원은 2020년 관상동맥우회술 제8차 적정성 평가에 이어 2회 연속 1등급을 유지하게 됐다. 이번 9차 적정성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허혈성심장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92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졌다.평가는 8개의 평가지표와 11개의 모니터링지표를 분석해 항목별 합산한 종합점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한다. 의정부을지대병원은 종합점수 94.14점을 기록하며 1등급을 획득했고, 내흉동맥(IMA)을 이용한 CABG 수술률과 퇴
한양대학교병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발표한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해 ‘심장수술 잘하는 병원’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혔을 때, 다른 부위의 동맥 혹은 정맥을 이용해 막힌 부위를 우회하는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주는 외과적 수술이다.이번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의 진료분을 대상으로 수술후 출혈이나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퇴원 후 30일내 재입원율, 수술 후 30일내 사망률, 수술 후 입원일수, 퇴원 시 항혈소판제 처방률, CABG 수술 총 건수, Isolated CABG 수술 총 건수, 내흉동맥(IMA)를 이용한 CABG 수술률 등을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관상동맥우회술은 막히거나 좁아진 심장혈관을 대체 혈관으로 연결해 혈류가 심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술로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에 시행하며, 허혈성 심장질환은 혈액을 심장에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 발병하는 질병으로 급성심근경색과 협심증 등이 대표적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관상동맥우회술 의료질 향상을 목표로 2008년부터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평가결과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경희대학교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3일 발표한 ‘제9차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관상동맥우회술 적정성 평가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년간 종합병원이상 의료기관에서 허혈성 심질환(I20~I25)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경희대병원은 주요평가 지표 관상동맥우회술 수술량, 내흉동맥을 이용한 수술률, 수술 후 합병증(출혈 또는 혈종)으로 인한 재수술률, 수술 후 입원일수 등 7개 지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오주형 원장은 "심장혈관센터의 우수한 의료진과 직원 모두가 검사부터 치료까지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진료 받을 수 있도록 헌신과 노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