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전막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망막의 앞에 막이 생기는 노인성 안질환이다. 매끈한 곡선의 형태로 있는 망막에 없어야 하는 막이 앞에 생기며 망막이 구겨지는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인구 1000명 중 1명에게 나타날 정도로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주로 시력의 90%를 좌우하는 황반 부위에 발생하며 시력에 영향을 준다.일반적으로 50대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며, 대부분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노화가 가장 뚜렷한 원인인데, 나이가 들면서 눈 속을 채우고 있는 젤리같은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나간다. 이 과정에서 영향을 받아 망막전막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는 눈의 염증, 당뇨, 망막정맥폐쇄
망막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의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망막질환이 생기면 극심한 시력 저하를 초래하고 심할 경우 시력을 완전히 상실할 수 있어 대부분의 망막질환은 안과 계의 '응급질환'으로 꼽힌다.대표적인 망막질환으로는 노인성 황반변성, 망막혈관폐쇄, 황반원공, 망막전막 등이 있으며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유병률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망막전막은 발병 초기 통증이 거의 없고 환자가 증상을 자각하기 어려워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또 대부분의 망막질환은 종합건강검진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안저 정밀검사, 망막CT촬영 장비를 통해 망막이상 여부를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