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도 망막전막 수술, 유리체 제거술과 막 제거 수술 시행
물체가 변형돼 보이는 변시증, 시력 저하 시에는 수술 고려
일반적으로 50대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며, 대부분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노화가 가장 뚜렷한 원인인데, 나이가 들면서 눈 속을 채우고 있는 젤리같은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나간다. 이 과정에서 영향을 받아 망막전막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는 눈의 염증, 당뇨, 망막정맥폐쇄 등이 2차성 망막전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치 얼굴에 주름살이 생기는 것처럼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점 생겨나는 안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시야가 흐리거나 일그러져 보이는 ‘왜곡시’가 나타난다. 직선이 휘어져 보이고 시력이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

망막전막은 초기에 증상이 미미하거나 경미한 경우 경과 관찰만 한다. 하지만 망막전막으로 인해 시력 저하나 심한 왜곡이 생기는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경우 수술적 치료인 유리체절제술, 망막 전막 제거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유리체절제술은 눈 속 유리체를 제거하고 섬유성 막을 직접 제거하는 수술이다.
만약 백내장이 있으면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망막전막은 백내장 수술과는 달리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편이며 6개월 정도에 걸쳐 조금씩 호전된다. 수술의 목적은 시력의 추가적인 악화를 막기 위함이며, 이미 변형시가 있거나 시력저하가 진행된 상태에서는 호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강민재 과장은 “망막전막의 증상은 망막전막의 두께와 망막혈관의 뒤틀림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며 “수술 시간은 약 30~60분 정도 걸리며, 시력은 서서히 회복된다. 다만 망막 손상 정도에 따라 완전한 시력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 수술의 타이밍이 중요한 질환으로, 숙련된 의료진과 함께 적절한 치료 시기를 상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