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 일상생활능력은 유지되나 인지기능은 떨어져 있는 상태
- 2017년 치매’진료인원 49만 명, 진료비 1조 9,588억 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경도인지장애(F06.7)’ 및 ‘치매(F00~F03, G3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2년 6만 3천 명에서 2017년 18만 6천 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24.2%의 증가율을 보였고, 치매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2년 29만 6천 명에서 2017년 49만 1천 명으로 연평균 10.7% 늘었다.
2017년 기준으로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환자는 전체 18만 6천 명 중 남성이 5만 9천 명이며, 여성은 12만 7천 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 보다 2.2배 더 많았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으로 인한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여성 중에서는 70대(5만 명, 39.4%), 60대(3만 4천 명, 26.4%), 80대 이상(2만 8천 명, 21.7%) 순으로 많았고, 남성 중에서는 70대(2만 5천 명, 42.9%), 60대(1만 4천 명, 23.6%), 80대 이상(1만 4천 명, 23.5%) 순이었다.
2017년 기준으로, 연령별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80대 이상이 2,895명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여성은 80대 이상 2,883명이 가장 많았고, 70대 2,879명, 60대 1,198명, 50대 323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80대 이상이 2,921명이 가장 많았고, 70대 1,809명, 60대 520명, 50대 103명 순으로 보였다.
2017년 기준으로 ‘치매’ 질환의 환자는 전체 49만 1천 명 중 남성이 14만 1천 명이며, 여성은 35만 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 보다 2.5배 더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알츠하이머병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여성에서 알츠하이머병이 더 흔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의 수명이 더 긴 것도 원인 일수 있다”라고 설명하였다.
’경도인지장애’ 질환과 ‘치매’질환을 치료 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에 대해 “경도인지장애 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치매로의 전환이 빨라질 수 있고, 치매환자를 방치한다면 진행이 더 빨라지고 자신을 돌볼 수 없기 때문에 삶 자체가 유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증상 및 원인, 치료법 및 치료 시 주의사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정의
일상생활능력은 유지되나 인지기능은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은 상태이며,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80%가 5년 내에 치매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증상
기억장애가 가장 흔하고, 언어능력, 길 찾기 능력, 성격변화 등이 관찰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원인
알츠하이머병, 뇌경색, 뇌출혈 등 치매의 모든 원인이 이에 해당됨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예방법
운동, 인지활동, 지중해성 식사, 사회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운동 일주일에 최소한 4번이상 1회에 40분이상의 피곤을 느낄 정도의 운동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독서, 글씨기 등의 활동
올리브유, 등푸른 생선, 야채위추의 식사, 견과류, 카레 등의 좋은 음식을 늘리고, 육류, 담배, 술을 줄임
친구를 많이 만들어서, 대화 사람과의 관계를 늘림으로써 뇌의 자극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진단·검사
신경심리검사로 정의가능하며 원인에 대해서는 혈액검사와 뇌영상, 혈액검사를 통해서 밝힐 수 있다. 또한, 원인을 알기 위해 증상이 비특이적이며, 젊은 환자에서 발병한 경우 아밀로이드펫, 유전검사 등을 할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 질환의 치료법
인지중재 치료와 운동, 인지활동, 지중해성 식사를 통해 인지저하를 더디게 할 수 있다. 또한 혈관위험인자 조절을 통해서 뇌경색, 뇌출혈을 예방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김재근 기자
jaegue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