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가 맹출되면서 인접 치아들을 압박하여 치열이 삐뚤어지나,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워 인접치아의 충치를 발생하는 원인이 되거나, 사랑니와 직접 관련되어 낭종이나 종양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예방적인 차원에서 사랑니를 발치하는 것이 실보다는 득이 크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랑니는 사춘기 이후에 인지하게 되는데, 발치는 10대말이나 20대 초반에 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의 치근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치를 하게 되면, 턱뼈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고 뼈 자체도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발치 자체가 어렵고, 뼈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랑니로 인한 합병증의 우려가 있거나 보철 및 교정 치료를 하는 데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 치근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즉각 발치를 해야 하므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청소년기에 잘못한 식습관은 구강 건강을 크게 망가뜨릴 우려도 크므로 정기적으로 치과 진료를 진행하며 구강 상태를 확인할 것이 권장되기도 한다.
매복사랑니발치 시에는 잇몸을 절개하고, 뼈 아래에 숨어있는 사랑니가 드러날 수 있도록 잇몸의 일부를 들추어낸다. 경우에 따라 사랑니의 인접 치아와의 관계, 전후 위치, 깊이에 따라 치아를 조각 내거나 혹은 그대로 발치하기도 한다.
이를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의료진에게 달려있다. 발치 과정과 방식에 따라 통증과 출혈, 부기, 회복 기간이 결정되므로 숙련된 의료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 환자 및 전신질환자의 경우 회복 과정이 길어질 경우 감염 및 염증 발생의 우려가 커지므로, 최소한의 절개와 잇몸뼈 삭제로 효율적인 발치가 필요하다.
또한 신경과 가까이 맞닿은 매복사랑니발치 시에는 신경 손상의 우려도 존재한다. CT 촬영을 통해 사랑니와 신경관의 위치 및 관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발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신경 손상이 발생할 경우 턱의 감각 둔화는 물론 치아와 잇몸, 혀, 입술 등 연결된 부위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밀 검진과 정확도 높은 발치가 가능한 시설과 장비가 구축된 의료 기관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의료진 선택 시에는 난이도 높은 발치 경력이 풍부한 전문의를 택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 발치 후에는 발치 부위의 염증에 주의해야 한다. 발치 부위의 청결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염증 발생 우려가 높아지므로 환자 스스로 청결한 구강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발치 후 세균으로 인한 염증 반응 및 신경 이상 반응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므로 주말보다는 평일 낮 시간을 이용해 치료를 받는 것도 좋다. 이상이 없을 때는 빠른 회복을 위해 발치 부위에 자극을 주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이엔이치과여환호원장(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