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들최장기 간이식 후 생존자, 온가족 간암 회복기 ... 중증 간 질환 치료예후 좋아져
국내 간이식 최장기 생존자, ‘한국간이식인협회’ 창설
이상준 씨(72세, 남)는 1992년 10월 서울아산병원에서 뇌사자 간이식 수술을 받고 올해로 30주년을 맞이해 국내 간이식 최장기 생존자가 됐다.
이 씨는 1991년 몸이 몹시 피곤해 병원을 찾았다가 B형 간염이 간경화로 악화돼 간이식이 시급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살 수 있는 기간은 길어야 1년 6개월. 유일한 치료법은 간이식 수술이었지만 당시만 해도 간이식 수술은 첨단의학의 결정체로 여겨지며 수술 성공 사례도 많지 않았다.
미국에서의 수술을 고민하던 이 씨는 이듬해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이 고난도 간이식 수술을 연이어 성공시킨 소식과 더불어 간이식은 수술 후 관리가 중요하다는 말을 듣고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을 받기로 결정했다.
마침내 1992년 10월 8일 이 씨는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로부터 뇌사자의 장기를 이식 받을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여러 검사 끝에 다음 날 새벽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이승규 교수가 수술을 시작했고 23시간에 걸친 대수술 끝에 이 씨는 새 생명을 얻을 수 있었다.
장기이식 환자에게 수술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이식 후 관리인데 이 씨는 체계적인 중환자 치료를 거쳐 건강하게 퇴원했다.
이 씨 스스로도 건강관리에 철저히 임했다. 수술 후 30년간 매일 만 보 이상을 걷고 금주와 금연 습관을 지켰다. 또한 45일마다 병원을 방문해 B형 간염 항체 주사를 맞고 90일마다 외래에서 건강상태를 점검받고 있다.
그 후 이상준 씨는 간이식 후 치료비가 부담돼 치료를 포기하고 건강이 악화된 환자들을 보면서 ‘한국간이식인협회’를 창설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마침내 2001년 7월 B형 간염 항체 주사의 보험 적용을 이끌어냈다. 치료비가 없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을 위해서는 기금을 모아 나눔행복재단을 설립해 수십 명의 환자들에게 수술비를 지원했다. 수술을 집도한 이승규 교수도 치료비의 보험 적용과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로서 의견을 개진하고 나눔행복재단에 본인의 책 인세를 전액 기부하는 등 간이식 환자들을 위해 힘을 보태 이들의 인연이 미담으로 기억된다.
일가족 모두 B형 간염에 의한 간암, 2차례 수술 후 완치
한편 부산에서는 온 가족이 간암진단을 받았으나 회복해 완치판정을 받은 사례도 소개됐다.
A씨(47)와 B씨(45·여) 남매는 태어나면서부터 B형간염 환자인 모친 C씨로부터 B형간염에 수직 감염됐다. 매년 병원에서 정기 검진을 해오던 A씨는 지난 2010년 B형 간염으로 인한 간암이 발견돼 간 절제 수술을 받았다. 2년 뒤 간암이 재발한 A씨는 두 번째 간 절제술도 성공적으로 받았다. 같은 해인 2012년 A씨의 친동생 B씨도 오빠와 동일한, B형 간염에 의한 간암이 발견돼 수도권 대학병원에서 2차례에 걸친 간 절제술과 시술을 받아야 했다.
A와 B씨 남매가 모친으로부터 B형 간염에 수직 감염돼 모두 4차례에 걸쳐 간암 수술과 시술을 받은 지 7년만인 2017년 5월 모친 C씨(75)도 결국 B형간염에 의한 간암이 진행됐고, 역시 2차례의 간 색전술을 받았으며 발병 5년이 경과한 올해 10월 현재 더 이상 재발되지 않고 있어 사실상 완치 판정을 받았다.
국내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률은 2000년대 3%대에서 2019년 10세 이상에서 2%로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B형간염 백신 상용화 이전인 1980년대는 8∼10%로 높았다. 만성 B형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되는 B형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체액, 감염된 사람과의 성적 접촉, 주사기 바늘 공동 사용 등을 통해 감염된다.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여성의 출산 시 아기가 감염되는 모자간 수직감염이 가장 중요한 감염경로로 알려진다. 요즘엔 B형간염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라도 출산 후 12시간 안에 예방접종과 면역글로불린 추가 접종으로 감염률을 크게 낮추고 있다. B형 간염 예방접종은 생후 0, 1개월, 6개월 등 모두 3회 시행한다.
온종합병원 통합소화기암수술센터 박광민 센터장은 “B형 간염은 한국에서 가장 흔한 간암의 원인으로, 모태로부터 수직 감염이 대부분이므로 환자가 일단 발병하면 다른 가족들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센터장은 “간은 인체에서 재생이 매우 잘되는 유일한 장기이므로 간암이 재발되더라도 적극적인 수술 또는 시술로 완치에 이를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5년간 재발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간암의 특성상 재발 가능성은 상존하므로 평생 주치의와 함께 건강관리와 관련 검사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