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정본정형외과의원백승욱대표원장
화정본정형외과의원백승욱대표원장
앉아있는 시간이 긴 현대인들은 거의 대부분 하루 활동량이 부족한 편이며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인체의 기둥인 척추 건강에 무리가 따르게 되고 결국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다양한 척추 질환에 노출되는 일이 잦아졌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원인 외에도 노화나 높아진 여성들의 출산 연령, 황혼 육아 및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척추 질환 환자 수가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여러 척추 질환 중에서도 추간판 탈출증은 현대인들의 고질병으로 손꼽힌다. 추간판(디스트)은 척추 뼈와 척추 뼈를 연결해주는 강한 연결 조직이다. 척추에 체중이 부하될 때마다 척추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러한 추간판이 변성되고 손상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 쪽으로 탈출한 것이 바로 추간판 탈출증이다. 돌출된 디스크는 신경근과 주변 조직에 기계적, 화학적으로 악영향을 미쳐 엉치 및 다리 신경통, 허리통증을 일으킨다.

과거 추간판 탈출증은 나이가 들면서 찾아오는 노화가 주범이었지만 최근에는 외상으로 심한 무리가 가해져 갑자기 발생하거나 잘못된 생활습관이 누적되면서 오는 등 원인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졌다. 여러 개의 추간판 중에서도 4번 요추와 5번 요추 사이, 제 5번 요추와 천추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에서 자주 나타난다. 이 부위는 체중 부하를 많이 받고 허리 움직임이 많은 부위로 전체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약 90%가 이 부위의 문제로 고통받는 편이다.

추간판 탈출증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증상이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란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좋은데, 치료는 증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용된다. 크게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뉘며 비수술적 치료로는 침상 안정, 약물 투여, 운동 요법, 보조기 치료, 물리치료 등이 있다. 초기 외래 통원 약물 치료 이후 호전이 없을 시 2단계로 신경 회복 약물을 투여하는 신경 차단술 등이 시행될 수도 있다.
수술적 치료는 계속 악화하는 신경 증상이 있거나 마비 증상이 있는 경우,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보이지 않을 때 적용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추간판 절제술이 있고 이외에도 탈출된 디스크를 간접적으로 감압해주는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치료가 진행된다 하더라도 올바른 생활습관을 병행하지 않는다면 추간판 탈출증을 포함한 척추 질환은 언제든 재발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재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통증이 느껴지는 즉시 휴식을 취하고 그 이후에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의료진을 찾아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길 권한다.

또 일상적인 작업은 가능한 한 올바른 자세해야 한다. 장시간 동안 한 가지 자세를 이어가기 보단 틈틈이 일어나 스트레칭을 하는 게 좋고 굽이 높은 구두는 되도록 피하는 것이 허리를 보호하는 길이다. 이와 더불어 걷기, 체조, 전신 근육 스트레칭, 수영 등 허리에 좋은 운동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급성 요통이 있다면 48시간은 냉찜질을 그 이후에는 온찜질이 적절하다.

(글 : 화정본정형외과의원 백승욱 대표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