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가격이 지역별로 최대 10배 이상 차이가 나면서 일부 산모들이 '원정 산후조리'를 선택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7개 시도에서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은 총 456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민간 산후조리원이 436곳, 공공 산후조리원이 20곳이었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에만 전체 산후조리원의 절반 이상인 56.4%가 집중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경기도에 145곳(31.8%), 서울에 112곳(24.6%)이 위치하고 있어 산후조리원이 특정 지역에 편중된 모습이었다. 이 외에도 경남(25곳), 부산·인천(각 22곳)이 그 뒤를 이었다.

위 사진은 본문과 관계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위 사진은 본문과 관계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반면 산후조리원이 가장 적은 지역은 세종으로 6곳에 불과했다. 광주, 울산, 제주 역시 각각 7곳에 불과했다.

또한 일부 지방의 경우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는 시군도 있었다. 충북은 11개 시군 중 9개 시군에, 전북은 14개 시군 중 11개 시군에 산후조리원이 없는 상황이다. 전남과 경북에서도 각 22개 시군 중 14개 시군에서 산후조리원이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의 가격 격차도 크게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곳으로 2주 일반실 기준 1천700만원에 달했다. 반면 충북의 가장 저렴한 산후조리원은 130만원으로, 두 곳의 가격 차이는 무려 10배 이상이었다.

지역별 평균 가격을 보면, 서울이 43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광주(370만원), 세종(347만원), 경기(332만원)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반면 전북(201만원), 경북(221만원), 충북(222만원)은 평균 가격이 가장 낮은 지역이었다.

2019년 대비 지난해 지역별 가격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광주 지역의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광주의 평균 산후조리원 가격은 2019년 225만원에서 2023년 370만원으로 64.4% 상승했다. 부산(46.3%)과 경남(38.1%)도 큰 상승폭을 보였다.

박희승 의원은 "저출생 시대에 산모와 신생아에게 적절한 산후 돌봄이 필수적이지만 지방에서는 산후조리원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고 가격 차이도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로 인해 지방 산모들이 '원정 산후조리'를 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남원과 같은 인구 감소 지역을 포함한 취약 지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산모들이 지역 내에서 충분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