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든타임 중요...조기진단·치료 신경써야
- 갑자기 말 어눌해지거나 시야 흐려지면 의심해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은 뇌혈관이 막혀 뇌 일부가 죽는 질병으로 요즘처럼 갑작스런 기온변화기에 빈발한다. 뇌경색의 위험 요소로는 혈전이 생기게 하는 모든 생활 습관병이 해당하며, 그 중에서 고혈압이 으뜸이다.

부산 온종합병원 한방센터 최철호 부원장(한의사)은 “뇌졸중으로도 불리는 뇌경색은 이 같은 전조 증상 외에도 맥을 짚거나 혀의 모양이나 색깔 등을 진단 지표로 삼는다”고 말했다.
맥진(脈診)은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전통적인 진단 방법 중 하나로 맥박의 강도나 속도, 리듬을 측정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한다. 맥박의 강도가 약하거나 불규칙한 경우 뇌로 가는 혈류량이 부족하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뇌경색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맥박의 속도가 빠르거나 느려질 수 있다. 맥박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끊어지는 경우에도 뇌신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뇌세포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혀 모양, 색깔, 두께 등을 관찰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설진(舌診)으로 뇌경색 여부를 진단한다. 혀가 흰색이나 회색으로 변하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신호일 수 있고, 이는 뇌경색의 초기 증상에 해당한다. 반대로 혀가 검은색으로 변하면 심장이나 뇌에 이상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혀가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구부러지는 혀 모양도 뇌신경의 기능 저하나 뇌세포 손상 지표로 활용된다. 뇌경색 위험요소로 꼽히는 체내 수분이나 영양 부족, 대사 장애 등의 경우 혀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질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환자의 소화기 상태와 내장기관의 이상 여부 등을 파악하는 복진(腹診)으로도 뇌경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복부의 긴장도가 높아진다. 이는 뇌신경 기능 저하로 인해 근육 긴장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복부가 탄력 없이 물렁하거나 반대로 너무 단단하거나 팽팽해도 뇌경색의 전조증상으로 의심한다. 복부가 차가운 경우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신호일 수 있으며 지나치게 팽만해도 소화기 기능의 저하로 체내에 담음(痰飮)이라는 노폐물이 쌓여 뇌경색을 초래할 수 있다.
온종합병원 한방센터 최철호 부원장은 “한의학에서는 체질을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사상체질로 구분하며, 각 체질에 따라 뇌경색의 발병 위험과 증상이 다르다”고 말했다. 태양인의 경우 뇌경색 발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태음인은 뇌경색 발병 위험이 가장 높은 편이다. 최 부원장은 "태음인은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노폐물이 쌓이기 쉬우므로, 이를 제거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며 "소양인의 경우 뇌경색의 발병 위험이 중간 정도이지만, 체질상 열이 많으므로 이를 조절하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소음인은 뇌경색의 발병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체력이 약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시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뇌경색으로 인해 마비된 근육을 풀어주고,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엔 침술이 크게 도움 된다"며 "침과 동시에 시행하는 뜸 치료도 뇌경색으로 마비된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고 밝혔다.
이어 "뇌경색으로 인해 틀어진 척추와 관절을 교정하고,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나요법은 최근 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포함돼 뇌경색환자들이 재활치료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