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심포지엄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바비스모 데이터, 이중 차단 기전의 차별화된 가치, 결절성 맥락막 혈관병증(PCV) 환자에서의 혜택, 최신 연구 데이터 등 총 4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째 날 진행된 ‘바비스모의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데이터’ 세션은 박규형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박운철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우세준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김재휘 김안과병원 교수, 장우혁 장우혁안과 원장의 발표가 있었으며 바비스모의 진료 현장에서 축적된 사용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박규형 교수는 “상당한 기간동안 정체 되어있던 황반변성 및 황반부종 치료 환경에 최근 새로운 기전 등 신약이 등장함에 따라 치료간격 연장, 해부학적 개선 등이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엽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황반변성, 당뇨황반부종 등 대부분의 안과질환은 다양한 병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multifactorial disease)으로, 한 가지 원인만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보다 발병 경로를 이중으로 억제하는 치료제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며 “바비스모는 안과질환 최초의 이중특이항체 치료제로서, 기존 치료제가 표적하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A(VEGF-A)와 망막에 염증을 유발하면서 망막 혈관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진 안지오포이에틴-2(Ang-2)까지 차단해 보다 효과적으로 망막 내 혈관을 안정시켜 치료 효과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둘째 날에는 황반변성의 하위 유형인 결절성 맥락막 혈관병증(PCV) 환자에서 확인한 바비스모의 가치가 논의됐으며 이원기 누네안과병원 원장이 세션 좌장을 맡아 해외 연자들의 연구결과와 임상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김지연 한국로슈 안과사업부 리드는 “바비스모가 급여 등재 1주년에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바비스모의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비롯해 망막질환 미충족 수요 해소에 기여한 바, 더 나아가 바비스모의 잠재력을 공유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해하는 망막질환에 있어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꾸준히 정진하여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종균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