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면서 통증과 염증, 운동 범위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증상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초중기에는 SVF(자가지방 유래 기질혈관분획) 주사 치료나 PRP(자가혈소판 풍부혈장) 주사와 같은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나, 증상이 악화돼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기존 수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3D 맞춤형 시뮬레이션 인공관절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수술 전 환자의 무릎을 MRI로 정밀 촬영한 후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개인별 해부학적 구조에 맞춘 최적의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방식이다. 수술 시간 단축은 물론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고 출혈과 회복 기간을 줄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인공관절 삽입 시 한국인의 관절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해 개발된 PNK(Preservation of Normal knee Kinematics) 인공관절을 사용하면 수술 후에도 자연스러운 무릎 움직임과 관절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고 병원장은 “PNK 인공관절은 정상 무릎의 움직임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 복귀에 도움이 된다. 정확한 진단과 3D 시뮬레이션,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선택이 수술 성공의 핵심”이라며 “퇴행성 관절염은 진행성 질환으로 방치할수록 치료가 복잡해지고 일상 기능 회복이 어려워진다. 평소 무릎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조기에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