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골절 및 성장판 손상(성장장애)에 대한 현대과학적 논문 및 특허 근거를 갖춘 한의학적 치료법 등을 중심으로 특허한약 접골탕 오픈 세미나 진행

특히 이번 제2기 세미나에서는, 자전거·킥보드·자동차·추락·낙상 사고 또는 축구·야구·태권도·농구·아이스하키·스키·육상·체조 등 각종 스포츠 활동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소아청소년 골절 및 성장판 손상(성장장애)에 대한 현대과학적 논문 및 특허 근거를 갖춘 한의학적 치료법(특허한약 접골탕) 등을 중심으로 강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매년 3월달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입학 시즌 전후로 그리고 봄철 야외(스포츠) 활동이 늘어나면서, 소아청소년 골절 발생률은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아이들의 뼈건강(골절)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어린이들은 뼈가 가늘고 약해서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아이들은 갑자기 다쳤을 경우에 너무 놀라거나 또는 부모님한테 혼날까봐 두렵거나 하는 이유로 그리고 자신이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구체적인 표현이 서툴고 소아 골절은 골막이 두껍고 뼈가 유연해서 외부와 부딪혔을 때 완전히 골절되지 않고 일부만 골절되는 경우 뼈의 변형이나 통증이 심하지 않아서 단순 타박상이나 단순 염좌로 오인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쉽다는 점이다.
아이들 특히 남자 아이들의 경우 만 10~14세 연령에서의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된다. 어린이들은 손목뼈와 앞팔뼈(요골&척골) 팔꿈치뼈 그리고 쇄골뼈 순서(빈도순)로 골절이 발생한다.
소아청소년 골절이 성인 골절과 관리와 치료 등에서 차이가 있는 점은, 아이들의 경우 뼈성장을 담당하는 성장판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성장판의 존재로 인해 치료 과정이 달라지고 손상 시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다친 팔이나 다리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휘어지는 심각한 2차적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연골은 단단한 뼈 조직보다 외력에 약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골절에서는 골단판(골성장판) 골절이 흔하며, 이 부위가 손상되면 성장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소아청소년 골절은 뼈가 붙었다고 해도 안심해서는 안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지에 과성장이 일어나서 정상 부위의 뼈보다 약간 길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골절 치료 후 과성장으로 인한 후유증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찰이 필요하다.
성장판 손상은 소아청소년 골절의 약 15% 정도를 차지한다. 성장판 손상 후유증은 길게는 1년 이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 골절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에도 아이의 치료받은 관절 부위가 한쪽으로 휘어지거나, 관절 부위에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성장판 손상으로 인해 성장장애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에는 빨리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대부분의 성장판 손상은 별다른 합병증 없이 잘 회복된다. 많은 분들이 성장판 조기 유합에 의한 성장 정지를 걱정하지만, 오히려 성장판 주변이 골절 이후 혈액 공급 과잉으로 길이 성장이 촉진되어서 다친 뼈가 더 길어지기도 한다.
2018년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소아청소년 골절(pediatric fracture)의 한약 치료에 대한 최신 중의학 임상 연구 동향-대조군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을 살펴보면,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소아청소년 골절 환자들에 대해 한약(TCM) 치료를 진행했었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s)을 과학적으로 메타 분석한 바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임상시험)에서, 한약을 활용한 골절 치료 그룹의 유효성(골절 치료에 있어서의 통계적 유의미성) 비율이 대조군(한약을 활용하지 않은 골절 치료 그룹)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치료 기간도 한약을 활용한 골절 치료 그룹이 대조군보다 현저히 낮았다.
가장 일반적으로 소아청소년 골절(pediatric fracture) 치료에 활용된 한약은 △당귀(當歸) △골쇄보(骨碎補) △작약(芍藥) △도인(桃仁) △천궁(川芎) △유향(乳香) △단삼(丹蔘)이었다.
결론적으로, 소아청소년 골절(pediatric fracture) 상황에서, 현대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검증된 위와 같은 한약을 한의학적 처방 구성 원리(군신좌사(君臣佐使)·변증시치(辨證施治))에 따라서 적절히 잘 활용하게 된다면, 서양의학적인 골절 치료보다, 골절 회복 기간을 상당히 의미있게(통계적으로 약 2배 정도 빠르게) 단축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임상적인 골절 합병증(후유증)도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음이, 객관적으로 밝혀지게 된 것이다.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