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는 환자의 존엄한 삶에 기여하기 위해 2018년 개소했다. 자문형 호스피스를 비롯한 완화의료 및 임상윤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기관 윤리위원회 심의·행정·교육·정책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또한 환자의 증상, 환자와 가족의 심리 정서적 상태, 가족구조, 돌봄 형태, 경제적 문제 등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해 연명의료계획 논의, 회송, 심리 정서적 지지, 사회경제적 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사업보고서는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병원 내 완화의료 정착을 촉진하고, 중증질환자·가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진행한 센터의 주요 활동을 4개 파트(완화의료·임상윤리·교육·연구)로 담고 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체 환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1889명→1777명)했다. 그러나 외래에서 의뢰된 환자는 증가(952명→1104명)해, 질병 치료와 완화의료를 동시에 받고자 하는 중증질환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의뢰 장소는 외래(62%), 병동(22%), 응급실(9%), 중환자실(7%) 순이었다.

2024년 완화의료 클리닉 외래 진료는 월평균 138건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고, 사전상담은 월평균 93건으로 1.3배 이상 증가했다. 이를 통해 센터는 증가한 완화의료 수요를 충족하고 공백 없는 돌봄을 제공하며 중증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다.

김범석 센터장는 “2024년은 어려운 상황에서 증상 관리와 돌봄계획 수립에 대한 중증환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완화의료가 실질적인 필수의료임을 확인하게 된 한 해”라며 “앞으로도 환자와 가족에게 더 나은 돌봄을 제공하며, 지속적인 센터의 성장과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보고서는 전국 완화의료전문기관 및 의료기관윤리위원회 설치 기관에 배포됐으며, 서울대병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하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