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장원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김미지 경희대 의과대학 융합의과학교실 교수, 신형은 박사, 의학과 김소희 연구팀은 한국노인노쇠코호트(KFACS)의 지역사회 거주 70~84세 노인 2,129명 데이터를 이용해 성별에 따른 근감소증 예측의 효과적인 경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근감소증은 근육량과 근력, 보행속도 등을 측정해 진단하나 2019년, 아시아 각국의 근감소증 연구자들이 모여 근육량 측정없이 간단하게 추정 근감소증‘을 평가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한 바 있다. 해당 절차에 따르면, ‘추정 근감소증’은 종아리둘레, 근감소증 선별 질문지(SARC-F), 혼합형(SARC-CalF, 종아리둘레와 설문지) 중 하나를 활용해 선별검사를 마친 후,
질병/의학
임혜정 기자
2025.03.11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