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이 다가오면서 무릎 관절 건강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김장을 하며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면 무릎 관절에 큰 부담이 가해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쪼그려 앉는 자세는 무릎을 약 128도 구부리게 하며, 이때 무릎 앞쪽 슬개골에 체중의 7배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다.관절염이나 척추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에 과도한 긴장이 가해져 연골 손상이 일어날 위험이 높아진다. 전문가들은 김장철 작업 자세와 환경을 개선해 관절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쪼그려 앉기, 무릎 건강에 악영향쪼그려 앉는 자세는 일반적인 앉은 자세보다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7~8배 증가시킨
오다리, 흔히 '휜다리'로 불리는 다리 변형은 무릎에 하중이 비정상적으로 쏠리게 만들어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오다리는 주로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다리 정렬이 교정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히 발생하는데, 이는 여성의 경우 중년 이후 퇴행성 관절염 발병률이 높아 다리 정렬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오다리를 자가진단하려면 똑바로 선 상태에서 양 무릎 사이 간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무릎 간격이 손가락 두 개 정도의 폭, 약 2.5cm 이내라면 정상 범위에 속하지만, 그보다 넓다면 오다리일 가능성이 있다. 다리 정렬 문제는 무릎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이 찾아오면서 부상을 입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스포츠를 즐기다가 잘못된 자세로 착지하는 경우나 무릎에 충격을 받는 겨우, 넘어지거나 삐끗 하면서 무릎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고 통증과 힘이 빠지는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십자인대파열을 의심해볼 수 있다.걷고, 뛰는 등 무릎을 사용하는 모든 행동에 작용하는 부위인 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나뉘며, 서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강이 뼈가 앞뒤로 과하게 움직여 튀어나오는 것을 잡아주고,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가 틀어지는 것을 막아주어, 무릎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
따뜻한 봄 날씨가 되면서 등산을 여가활동으로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성인의 60% 이상이 등산을 즐긴다는 통계도 나온다. 가파른 산을 오를 경우 무릎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근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무리한 등산을 할 시 무릎 연골 손상도 발생할 수 있다.산에 다녀온 후 무릎이 아픈 이유로는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평지와 오르막, 내리막, 걸을 때와 뛸 때가 다르기 때문인 점이 꼽힌다. 평상 시 걸을 때는 체중의 1.3배가량의 하중이 무릎에 실린다. 뛸 때는 뛸 때는 체중의 2배까지 증가하고,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때, 가파른 산 등산 시에는 5~6배까지 늘어나...
추위가 심해지는 겨울철에는 유독 무릎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무릎에 통증이 있고, 또 춥다고 몸을 웅크리게 되고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면 혈액순환이 더뎌져 무릎 관절 건강에 더욱 좋지 않을 수 있다.겨울 외에도 기온이 떨어지게 되거나 흐린 날씨에는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관절액이 팽창하거나 혈관이 수축하게 되고 주변 근육이나 인대가 경직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들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때문에 비가 오거나 습한 날씨, 겨울에 무릎이 아프다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이처럼 날씨와 기온에 영향을 받는 무릎 관절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무릎 주변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근육이나 인대가 뭉치거나 뻐근해...
50년 만에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20년 이상 늘었다. 과거 1970년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61.9세였지만 2019년의 평균 기대수명은 83.3세로 50년 만에 수명이 21.4년 늘어났다. 50년 전에 비해 같은 몸을 21년 더 쓰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은퇴 후에도 건강하고 활동적인 액티브 시니어가 되려면 주기적으로 뼈와 관절 건강을 체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노년층의 활동을 힘들게 하는 ‘무릎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으로 뼈와 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해 무릎뼈를 보호해주는 연골이 닳아 점차 없어져 나타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골관절염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2015년 352만9067명에서 2019년 404만2159명으로 크게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