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년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인당 연간평균 피폭선량은 0.37 mSv(밀리시버트), ’19년 대비 17.8%(0.08 mSv) 감소
- 피폭선량 지속 감소를 위해 종사자 인식개선 및 안전관리 수칙 준수 필요

질병관리청은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2023년한 해 동안 받은 개인 피폭선량을 분석하여, 「2023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를 발간하였다.

이번 연보에는 최근 5년간(2019년~2023년)의 방사선 관계종사자 수 및 피폭선량 추이, 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직종·나이·성별·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2023년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10만 9,884명으로, 최근 5년간 지속 증가하여 ’19년 대비 약 16.4%(15,509명) 증가하였으며,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72% 이상이었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 수가 매년 증가함에도 1인당 연간평균 피폭선량은 최근 5년간 지속 감소하여, 2019년 0.45 mSv에서 2023년에는 0.37 mSv로 나타났다. 직종별 연간평균 피폭선량은 방사선사가 0.77 mSv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방사선사의 평균 피폭선량이 1.31 mSv로 가장 높았다.

최근 5년간 방사선 관계 종사자 수 (질병관리청 제공)
최근 5년간 방사선 관계 종사자 수 (질병관리청 제공)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직업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개인 피폭 선량계와 방사선 방어 기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등의 방사선 안전관리 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종사자의 피폭선량 관리와 피폭선량이 높은 신규(20대) 방사선사를 위해 관련 단체와 협력하는 등 피폭선량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3년부터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보수교육과 안전관리 미흡 의료기관에 대한 특별교육을 실시하여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연간평균 피폭선량과 피폭선량이 높은 주의통보 대상자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피폭선량 감소를 위해서는 종사자 인식개선 및 안전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면서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안전한 의료방사선 환경조성을 위하여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및 방사선 관계 종사자 피폭선량 관리,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의 안전관리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