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침습 수술로 부작용 적어 소아와 노약자 적용 가능

인승민 건양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국내 이비인후과 전문의 개인 중 처음으로 '축농증 풍선 카테터' 수술 500례를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풍선 카테터 축농증 수술은 2014년 만성 축농증에 효과적인 새 치료법으로 국내에 도입됐으며,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는 기존의 축농증 수술을 대체하는 수술로 자리 잡았다.

기존 축농증 수술은 염증이나 물혹 이외에도 코의 뼈와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출혈이 생기고 회복 기간이 길었다. 조직 제거로 정상적인 부비동의 생리, 점액섬모운동에 지장을 줄 수 있어 수술 후 만성시침, 이물감, 후비루 증후군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키기도 했다.

배장호 건양대병원 의료원장(왼쪽 5번째)와 인승민 이비인후과 과장(왼쪽 4번째)을 비롯한 임직원이 축농증 풍선확장술 500례 돌파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건양대병원 제공)
배장호 건양대병원 의료원장(왼쪽 5번째)와 인승민 이비인후과 과장(왼쪽 4번째)을 비롯한 임직원이 축농증 풍선확장술 500례 돌파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건양대병원 제공)
가장 큰 문제점은 부비동이 뇌, 안구와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축농증 수술 시 잘못하면 치명적인 합병증인 안구실명, 뇌척수액비루, 뇌손상 같은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풍선 카테터 축농증 수술은 사용하는 풍선기구가 날카롭지 않고 끝이 둥근 모양의 기구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풍선 축농증 수술 후 치명적인 뇌, 안구 합병증이 보고된 적이 거의 없다.

풍선 카테터 축농증 수술은 내시경과 실시간 CT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해 부비동 시술 부위를 보면서 가느다란 관을 통해 카테터(도관)를 부비동 입구로 넣고, 풍선을 팽창시켜 좁아진 부비동 입구를 넓혀 고름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성인은 수술 및 약물치료 모두 고려할 수 있지만, 안면과 코 주위 부비동의 성장이 완전하지 않은 어린이는 축농증 수술 결정이 신중할 수밖에 없다. 축농증 풍선확장술은 기존수술과 달리 최소침습 수술법이라 수술 후 부작용이 극히 드물어서 소아와 노약자 및 임산부에도 적용 가능하며, 특히 소아의 경우 수술 후 안면성장에도 지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술시간이 30분 정도로 짧고 부비동 병변이나 환자의 협조상태에 따라 부분마취로 간단하게 시술할 수도 있으며, 당일 시술 및 퇴원도 가능하다.

인승민 과장은 “풍선카테터 축농증 수술은 회복과정이 짧을뿐더러 정상조직 절제를 최소화하는 만큼 콧속 패킹 제거 통증, 출혈, 수술 후 유착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풍선카테터 축농증 수술 경험이 많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술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