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경우가 탄수화물을 극단적으로 제한하는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다. 이 경우 체내 에너지원이 부족해지면 지방이 분해되며 생성되는 케톤체가 호흡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특유의 금속성 또는 아세톤 냄새가 동반되는 입냄새가 발생할 수 있다. 또 과도한 단식으로 인해 위산이 불규칙하게 분비되거나 위장 운동이 저하되면,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않아 역류나 장내 가스에 의한 구취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는 비위 기능을 보하면서도 불필요한 담습을 정리해주는 한약 처방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다이어트 중 발생한 입냄새는 단순히 입을 청결히 하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체내의 대사 균형과 소화기 상태를 점검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입냄새는 위장 기능 저하나 대사 불균형의 신호일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체내 기능을 조화롭게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치료해 구취와 함께 전반적인 컨디션 회복을 함께 고려한다.
(글 : 강기원 제일경희한의원 대표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