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조철현 교수, 사회불안장애 참여형 가상현실 치료의 뇌기능 영향 연구 … 긍정적 영역 뇌활성도 증가 확인

세종충남대병원이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가 가상현실 치료가 사회불안과 자기 경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뇌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고 20일(화)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허지원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정신의학 디지털헬스 전문 SCIE 학술지인 ‘JMIR Mental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의 정도가 매우 심해 상황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고통을 느끼는 불안장애의 한 종류다.
이번 연구에 앞서 지난해 조철현 교수 연구팀은 한국예술종합학교, 포항공대 연구팀과 함께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을 위해 난이도를 구분한 참여형 가상현실 솔루션을 개발했다.
사회불안 상태에 대한 노출 치료를 진행하면서 자신이 직접 자기소개에 참여해 녹음하는 치료 프로그램으로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의 증상 완화를 꾀했고 심리척도의 변화를 확인해 치료적 호전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이 6회기 동안의 참여형 가상현실 치료 전과 후, 그리고 대조군을 대상으로 자기참조처리(self-referential processing) 수행을 하면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을 통해 뇌기능 변화를 비교 관찰했다.
가상현실 치료를 받은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이 호전됐으며 가상현실치료 후 fMRI 중에 긍정적인 단어를 보면서 자기 참조 및 자서전적 기억 과정을 담당하는 뇌 영역에서 뇌활성도의 증가를 확인했다.
특히 긍정적인 자기참조 처리와 관련된 혈중 산소 수치의 의존적 변화가 클수록 부정적인 사건을 반추하는 경향이 낮아지고 가상현실치료 이후의 사회불안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