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통은 발생 부위와 양상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한다. 아무런 특별한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두통’이 있고, 다른 질환에 의해 생기는 ‘이차성 두통’이 있다. 일차성 두통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형 두통, 콕콕 찌르는 듯한 편두통, 눈 주변이 아프고 일정 시간 반복되는 군발두통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두통은 일차성 두통에 해당하며, 일상생활 속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생활 습관의 영향을 받는다. 반복, 재발하여 삶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지만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이차성 두통은 다르다. 뇌출혈, 뇌종양, 뇌염, 뇌수막염 같은 병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은 일차성과 달리 반드시 원인을 치료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이차성 두통은 단순한 통증을 넘어 구토, 어지럼증, 시야 이상, 의식 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평소와 다른 양상의 두통이 갑자기 시작됐거나, 경험해본 적 없는 강도의 통증이 나타난다면 병적인 원인을 의심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도 많은 이들이 병원을 찾기보다는 진통제에 의존하며 증상을 넘기려 한다. 그러나 진통제는 원인을 치료하지 못하고, 오히려 증상을 가려 병을 더 키울 수 있다. 특히 이차성 두통은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두통이 자주 반복되거나, 통증의 강도와 양상이 달라졌다면 가능한 한 빠르게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두통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사의 문진을 통해 두통의 양상과 빈도를 파악해야 한다. 필요 시 뇌 CT나 MRI, 경동맥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검사를 통해 뇌의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일차성 두통의 경우에는 약물치료나 스트레스 조절, 생활 습관 개선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반면 이차성 두통의 경우, 원인 질환에 대한 전문적 치료가 필요하다.
두통을 단순한 통증으로만 여긴다면 치료의 적기를 놓치기 쉽다. 진통제 남용은 증상만 가릴 뿐 병을 키우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므로, 두통이 평소보다 심해진다면 정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 건강은 한 번 잃고 나면 회복이 쉽지 않으므로 두통을 ‘뇌가 보내는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 조기에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글: 대구 박종수신경외과의원 박종수 대표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