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이처럼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들이 갖고 있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바로 블루라이트다.
블루라이트란 PC 모니터와 스마트폰 에서 나오는 파란색 계열의 광원이다. TV에서도 나오는 불빛이기도 하다. 이는 380-500나노미터 사이의 파장이 존재하는 빛으로 구분된다. 블루라이트 라는 이름처럼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피부과에서는 여드름을 치료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것은 물론 피부과 치료에도 사용되는 불빛이지만 과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이 많다.
우선 눈에 피로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게 된다. PC나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 사용하다 보면 눈이 뻑뻑해지고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눈이 건조하다고 느끼는 정도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눈 속의 망막과 수정체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시력을 저하하게 만든다. 눈에 나타나는 황반변성 역시 블루라이트의 영향으로 더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피부에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불빛이라고 하지만 과하게 쬐면 오히려 피부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피부 색소가 침착되면서 기미를 불러일으키는데, 블루라이트는 자외선과 비슷한 부분이 있다. 그래서 피부 색소침착과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 피부에 침투성이 높은 것은 물론 천천히 피부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분명 증상이 나타나지만, 서서히 나타나 이를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자각하는 순간에는 이미 늦었다 볼 수 있다.
또한 블루라이트는 수면장애와 우울증의 원인이기도 하다.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하다 자는 사람이 아마 대부분일 것이다. 이는 생체 시계를 흐트러지게 만들어 자율시신경에 혼란을 불러 일으켜 수면에 방해를 주게 된다. 또 뇌에 강한 자극을 주기도 하여 세로토닌과 코르시톨,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에도 영향을 미쳐 피곤함과 괜한 짜증을 일으키고 우울증의 원인으로도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블루라이트는 당뇨병과 고혈압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도 밝혀졌다.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전자기기지만 과한 사용은 신체는 물론 마음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적절한 사용과 함께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을 사용해 건강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할 듯 싶다.
하수지 기자
suji@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