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비해 50대 5배, 70대는 21배, 완경기 여성에서 잦아 … 골다공증 치료 병행해야
힘찬병원 신경외과 박진규 원장은 “건강한 척추뼈는 강한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지 않지만 노화로 약해지면서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해진다”라며 “특히 요추 골절은 고령층에게 빈번한 질환으로 단순히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상태가 아니라 간격을 유지하면서 있어야 할 뼈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납작하게 내려앉게 된다”라고 말했다.
요추골절 나이들 수록 많아 …30대 대비 50대 5배, 70대는 21배
요추 골절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같은 충격에도 젊은 층에 비해 골절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0년 요추 골절 환자수에 따르면 50대는 11,589명으로 30대 2,239명에 비해 5.1배가 높다. 70대는 47,708명으로 50대에 비해 4.1배 , 30대와 비교해 보면 21배나 높은 수준이다. 같은 해의 다빈도 질병 순위도 ‘요추 및 골반의 골절(S32)’이 30대는 109위, 50대는 50위, 70대는 9위로 노년층에서 빈번히 발생했다.
70대 이상이 흔히 겪는 요추 골절은 척추 압박골절이 대표적으로 낙상 등과 같이 외부 충격을 받는 순간 척추뼈가 주저앉으며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형태로 생긴다.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힘을 잃은 척추 뼈가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져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재채기를 하다가도 생긴다.
실제 완경기 여성에서 척추 압박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에게 있어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질환이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뼈의 생성과 소멸에 관여하는 세포들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에스트로겐이 저하되는 완경기에 이르면 골 소실이 빠르게 진행되며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진다. 골다공증은 질환 자체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골다공증성 골절인데,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질환이 바로 척추 압박골절이다.
척추 뼈에서 특히 골 소실 현상이 뚜렷이 발생하기 때문에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한다. 척추 압박골절이 생기면 움직이기 힘들 정도로 등이나 허리에 통증이 생기는데, 누워있다가 일어나거나 돌아누울 때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척추의 앞부분이 주저앉거나 찌그러지면 척추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척추가 변형되면서 키가 작아지거나 등이 굽을 수도 있다.
척추 압박골절, 골다공증 치료와 병행해야 효과적
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고 난 후 움직일 때 악화되는 통증이 발생하면 병원에서 X-ray 검사로 골절 여부를 확인해 보자. 급성 골절의 경우 일단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진통제 등을 복용해 통증을 줄이며 보조기를 착용해서 부러진 뼈가 잘 붙을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골절된 척추 뼈가 잘못된 모양으로 굳어 버리는 척추 변형이 오거나 2주 이상의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도 고려한다. 의료용 골 시멘트를 부러진 뼈에 주입해 뼈의 안정성을 보강해주는 치료가 대표적이다.
힘찬병원 신경외과 윤기성 원장은 “최근 압박골절로 인한 통증을 줄이고, 빨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사 치료도 효과가 있다”라며 “골다공증 주사가 골 흡수를 억제하고, 골 형성을 촉진하도록 해 골밀도를 개선하고, 골절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다.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은 통상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연쇄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골절 치료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골다공증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겨울철 척추 압박골절을 예방하려면 외출 시 장갑이나 미끄럼 방지 신발을 착용하고 보폭을 줄이는 등 낙상과 그로 인한 피해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미 골절을 겪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령, 완경기 등 골다공증 고위험군이라면 평소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하고 골다공증 약이나 칼슘, 비타민D 등을 꾸준히 복용하는 등 예방적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