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려워 ‘침묵의 살인자’라 불리는 만큼 가장 위험한 암 유형 중 하나로 꼽힌다. 중앙암등록본부가 2020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췌장암 발생자수는 2018년 한 해 7,611명으로 전체 암 발생의 3.1%를 차지했다. 2014~2018년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2.6%로 위암의 77.0%에 비해 수치 상 크게 낮으며, 국내 암 중에서 5년 생존율이 가장 낮다. 특히 췌장암은 투병 중 통증이 심해 삶의 질이 가장 나쁜 암으로 꼽혀 췌장암 환자의 통증과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다.

췌장암은 대부분 외분비와 관계된 췌관의 세포에서 발생하는 췌관 선암종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낭종성암(낭선암), 신경내분비종양 등이 있다. 췌장암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만성 췌장염, 가족력, 당뇨병, 식이 등이 지목된다. 대한종양학회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 중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약 7.8%로 전체 췌장암 발병률 약 0.6%에 비해 10배 이상 발병 위험이 높다. 또한,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췌장암 위험이 최대 5배 정도 높으며, 만성 췌장염의 경우 외분비 및 내분비 기능이 저하돼 췌관의 불규칙적인 확장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방치되면 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췌장암 환자의 80~90%가 통증을 느끼는데 통증이나 혈변,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면 상당히 진행된 경우이다. 췌장암의 주요 증상으로는 복통, 소화불량과 체중감소가 발생한다. 췌장이 등 주변에 위치해 있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통증 뿐 아니라 황달이 생겨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누렇게 변할 수 있다. 그 밖에 변비, 메스꺼움, 구토, 쇠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췌장암의 주요 증상이 지속된다면 췌장암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췌장암을 진단하는 방법은 복부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술(MRI), 혈액 검사 등을 주기적으로 하면서 가능한 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췌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담배를 끊고 고지방·고열량 식이보다는 채소, 과일 중심으로 식생활을 개선하고 적당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전이 정도와 몸 상태 등을 고려하여 진행되는 췌장암 치료법으로는 수술, 방사선 요법, 화학요법(항암제) 등이 있다. 췌장암 진단 시, 수술이 가능한 환자는 전체의 약 20%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나머지 80% 중 전이성 췌장암은 항암제 치료를 또는 진행성 췌장암은 항암제 또는 항암 및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췌장암은 치료 후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통증 및 부작용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