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은 크게 급성 불면증과 만성 불면증으로 나뉜다. 불면증이 1개월 미만으로 나타난다면 급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급성 불면증은 큰 스트레스 또는 흥분 상태일 때 쉽게 나타난다. 1개월 미만의 증상으로 시험이나 입학, 사업, 취업, 친구와의 싸움, 사별 등이 원인이 된다. 또한 해외여행에 따른 시차 적응 문제로도 나타나기 쉽다. 병에 걸린 상태나 잠자기 전에 과로하는 경우에도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급성 불면증의 경우 규칙적인 수면 습관 유지가 중요한데 단기적인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다. 치료를 받지 못하면 만성 불면증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성 불면증은 1개월 이상 지속되는 불면증 상태로 대부분 6개월 넘게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만성 불면증은 단순 약물치료보다 원인 질환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울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체질적인 문제를 지닌 경우도 많다. 만성 불면증 치료는 체질 이외의 부가적인 원인 즉, 수면 중 호흡장애 및 운동장애, 잘못된 수면습관 및 환경, 류마티스 등의 염증질환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불면증 주요 검사 대상으로 피로감이나 주간졸림증을 수시로 느끼는 경우, 집중력이 흐려지고 기억력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 업무 능력이 떨어지고 학업에 집중하지 못 하는 경우, 감정 장애가 나타나고 예민해지는 경우, 일에 대한 동기나 에너지 및 추진력이 저하된 경우, 업무나 운전 중 사고 사례가 증가하는 경우, 이유 없이 긴장되고 두통이나 위장 증세가 수시로 나타나는 경우 등이다.
정밀 검사로는 설문 및 심리분석, 이학적 검사, 현 병력, 혈액검사 등으로 기초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가족의 정보(코골이, 수면 중 몸의 떨림 등)도 큰 도움이 된다.
정확한 수면장애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는 불면증과 더불어 코골이·수면무호흡증, 기면증, 수면 중 이상행동 등의 수면질환 진단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표준 검사다. 수면다원검사 과정은 병원에 내원해 수면상태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 시작되는데 이후 수면전문기사가 뇌파검사, 수면구조검사, 수면호흡검사, 근전도, 수면 움직임 관련 20여 개의 센서를 부착하여 본격적인 절차가 이뤄진다.
정밀 검사 이후 환자 상태에 따라 약물요법, 행동인지치료, 수면제한치료, 자극요법 등을 시행한다.
명심해야 할 점은 불면증 사실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면밀하게 파악하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점이다.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명확한 원인이 기질적인 이유라면 단순 노하우로 이를 개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수면안대, 스마트베개, 약물 등에 의존하는 것보다 정밀 검사를 실시한 후 그에 맞는 치료를 도모하는 것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올바른 방법이다.
숨수면클리닉이종우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