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광명병원 정영훈 교수, 관상동맥질환 한국인에서 서구인에 비해 ‘염증 수치’가 절반가량 낮음 확인
그 동안 학계에서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이 서구인에 비해 ‘염증 수치’가 낮다는 보고가 있어 왔고, 최근의 대규모 임상연구들은 ‘염증 수치’가 관상동맥질환의 진행 및 위중한 사건 발생의 주요한 원인임을 재확인하고 있다. 이에 정영훈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스텐트 시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군(협심증 및 심근경색)을 대상으로 한국 환자의 ‘염증 수치’ 확인 및 장기 예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학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미국심장학회 저널인 ‘JACC Asia’ 최신호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순환기내과 정영훈 교수와 창원경상대병원 순환기내과 안종화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게재됐다. '동아시아 환자에서 잔류 염증 위험과 관상동맥중재술 후 사건과의 연관성’(Residual Inflammatory Risk and its Association With Events in East Asian Patients After Coronary Intervention)’이란 제목으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지속적인 ‘고염증 수치(고감도 C-반응단백 2mg/L 이상)’를 가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망률 및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발생이 유의하게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중요한 것은, 스텐트 시술을 받은 4562명의 한국인 환자에서 약물 치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고염증 수치’를 가질 확률은 18.3%로 서구인(36.5%)에 비해서 약 1/2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에서 ‘고염증 수치’ 환자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은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및 사망율이 서양인에 비해 낮다는 것을 뒷받침하며, 한국인이 왜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사망율이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인지를 설명해 준다.
이러한 결과는 정 교수가 2012년에 최초로 제기했던 ‘동아시아인 패러독스’에 따라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한국인 맞춤형 심혈관계 적정치료’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이번 연구는 대규모 연구에서 임상효과가 증명된 ‘콜키친’ 같은 항염증 치료제의 경우, 한국인에 있어서는 대상자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콜키친’의 임상효과는 염증수치의 감소와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염증 수치가 낮은 한국인에서는 이 약제의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영훈 교수는 “연구를 통해 한국인과 서구인의 ‘지속적 고염증군’의 유병율 차이를 확인했고, 이는 지난 10년 여간 주장해 온 ‘한국인 맞춤형 심혈관계 적정치료’ 개발의 필요성을 다시한번 지지하는 결과이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인에서 향후 임상에 도입될 ‘항염증 치료제’에 대한 적절한 환자군을 가려내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정영훈 교수는 2012년 ‘동아시아인 패러독스’를 발표한 이후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적정 항혈전제 치료 전문가 합의문을 3차례 주도하였고, 관련하여 NEJM, Lancet, JAMA 등의 세계적 학술지에 10 차례에 걸쳐 레터 형식의 분석 내용을 발표했다. 현재 아시아 심장학회(Asian Society of Cardiology) 부회장, 혈소판-혈전연구회 회장 및 순환기의공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로나 감염증 및 종양 혈전증 등에서 인종간 혈전 성향 차이 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임상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