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증진개발원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 발표 ...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 개발 필요”

16일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열린‘2022년제2차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에서‘온라인건강정보현황분석결과'가보고됐다.
16일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열린‘2022년제2차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에서‘온라인건강정보현황분석결과'가보고됐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16일본원 8층 국제회의실에서 ‘2022년 제2차 건강정보시정권고위원회’를 개최했다.

올해 2차 회의는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KHEPI는 작년 6월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보건의료계, 커뮤니케이션 학계, 법조계, 민간 등 각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출범해 운영하고 있다.

‘대국민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은 국민의 건강정보 접근성 및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위원회는 사업 추진 방향 등 주요 안건에 대한 자문을 담당해 왔다.

이번 2차 회의는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 및 건강정보 모니터링 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내용에 대한 보고로 시작해, 향후 추진 계획에 대한 위원회의 논의가 진행됐다.

해당 연구용역은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에서 수행했으며 건강정보 관리자뿐만 아니라 생산자, 이용자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건강정보의 생산과 활용을 도모하며, 나아가 건강정보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방안을 제안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회의에서 KHEPI는 해당 연구용역의 주요 결과인 ‘온라인 건강정보 현황 분석 결과’에 대해 위원회에 보고했다. 분석은 인터넷 기반 매체를 중심으로 건강정보를 수집해 건강정보의 생산 및 유통 현황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네이버 지식in’을 통한 건강정보에 대한 질문의 주요 내용은 증상 및 질환(48.5%), 치료(22%), 건강식품 및 영양제(11.9%) 순이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작성자는 비전문가가 43%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이들의 답변은 단순 조언인 경우가 많았다. 특히, 작성된 답변의 50% 이상은 특별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통해 유통되는 건강정보 관련 콘텐츠는 주로 의학 전문 지식을 가진 이들이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에 포함되는 건강정보의 근거를 분석한 결과, 의료 전문가나 공공기관 등은 의학적 전문 지식을 근거로 제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개인은 근거 없이 제시하거나(39.7%), 경험을 기반으로 제시하는 비율(21.1%)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등에서 유통되는 잘못된 건강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올바른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국민참여형 건강정보 모니터링 및 홍보 활동인 ‘대학생 건강정보 디자인단’ 활동 결과에 대한 보고가 진행됐다. ‘대학생 건강정보 디자인단’은 건강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올바른 건강정보를 개발해, 이를 홍보 콘텐츠로 제작 및 확산하는 대학생 중심의 활동으로 지난 7월 첫 출범해 약 4개월 간 운영됐다.

KHEPI는 디자인단 활동을 위해 가이드북 배포, 역량강화 교육, 전문가 자문 등을 지원했으며, 결과보고회를 통해 수료증 수여 및 우수활동 팀 수상 등을 진행함으로써 활동을 마무리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현장 원장은 “이번 위원회 회의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적극 수용해 국민이 체감하는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건강정보 모니터링 사업을 통해 근거 없는 건강정보의 확산을 방지하고 올바른 건강정보 제공에 기여해, 국민의 건강정보 이해력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KHEPI는 차기 위원회 회의에서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실효성을 검토하고, 향후 건강정보 모니터링 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