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골탈구의 원인은 선천적으로 무릎이 약하게 태어나거나 미끄러운 바닥에서의 생활, 두발로 서는 행동, 잦은 점프, 비만 등이다. 슬개골탈구가 발생한 강아지는 뒷다리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하더라도 깽깽이 걸음을 한다. 그 외에도 통증으로 인해 무릎을 깨무는 행동, 보호자가 만지려고 할 때 물려는 행동을 보인다.
슬개골탈구는 1기~4기로 나뉜다. 무서운 사실은 슬개골탈구가 한 번 진행되면 되돌릴 수 없는 ‘진행성 질환’이라는 것이다. 이탈 범위가 비교적 좁은 1기~2기는 약물 치료를 통해 개선시킬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금방 3기~4기로 발전한다. 초기에는 슬개골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면 제자리로 돌아가지만 3기~4기까지 발전했을 때는 슬개골에 인위적인 힘을 가해도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다. 또 뒤에서 본 강아지의 뒷다리가 O자 모양으로 변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약물 치료로도 개선이 불가능한 슬개골탈구는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슬개골탈구수술은 슬개골이 빠지지 않게 해 주며 슬개골을 포함한 대퇴사두근의 축을 1자로 맞춰 준다. 아이의 슬개골탈구 정도에 따라 진행하는 수술 방법은 다양하다. 얕은 활차를 가진 아이들이 하는 활차구 성형술, 경골 내측에 변위변 발생했을 때 하는 경골조면이식술, 슬개 인대 주변의 지지띠가 늘어났을 경우 진행하는 외측지지띠 중첩술 등이 있다. 대부분 한 가지 방법만 진행하지 않고 아이의 상태에 맞는 수술 방법을 복합적으로 진행한다.
슬개골탈구는 수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첫째, 아이가 살이 찌지 않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반려동물이 비만일 경우, 체중으로 인해 관절에 부담이 생겨 수술 후 회복을 방해한다.
둘째, 영양제와 처방 사료를 챙겨 주어야 한다. 관절에 좋은 영양제를 함께 공금하면 재발 예방과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운동을 자제해야 한다. “수술 후 근육 발달을 위해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라고 생각할 수 있다. 아예 운동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산책은 30분 미만으로 해 주고 두 발로 서는 행동, 점프하는 행동 등 과한 움직임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직립 보행이나 뛰어내리는 행동, 점프 등의 행동은 슬개골탈구가 재발할 수 있다.
슬개골탈구는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 십자인대 파손,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반려묘도 예외는 아니다. 반려견에 비해 케이스가 적을 뿐 슬개골탈구가 생기는 고양이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고양이는 슬개골탈구 재발률이 약 48%로 굉장히 높기 때문에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 아이들이 생활하는 바닥에 카펫이나 매트를 깔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 주고 발바닥 털과 발톱을 주기적으로 정리해 주자. 슬개골탈구는 간단한 촉진만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반려동물이 잘 걷지 못하거나 뒷다리 사용이 불편해 보인다면 고민하지 말고 동물병원에 방문해 정환한 진단을 받아 보기를 바란다.
(글 : 쿨펫동물병원 이동근 원장)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