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시간 부족한 청소년, 낮시간 졸림 현상 과수면으로 오인 ...우울감, 학업피로, 불면 증상 환자가 과수면으로 진단받는 경우 드물지 않아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과다수면장애는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시간동안 잠을 자고 나서도 주간에 졸린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국제 수면장애 분류지침에 따르면 과다수면장애에는 여러 가지 질환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병은 기면병이다.

기면병은 저항할 수 없는 정도로 심한 졸림이 낮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 외에도 잠이 들거나 잠에서 깰 때 환각이 느껴지거나, 낮에는 졸린데도 불구하고 밤에는 수면을 잘 취하지 못하거나, 가위에 자주 눌리는 등의 증상들 흔히 동반된다. 기면병에서 또 하나 특징적인 증상은 낮 시간 활동 중 갑자기 몸의 일부나 전체에서 힘이 빠지는 탈력발작이다. 탈력발작의 유무에 따라 기면병을 1형과 2형으로 나눈다.

기면병 이외에도 과대수면을 유발하는 질환으로는 특발과다수면이 있다. 이는 기면병과는 달리 깨우지 않으면 10시간 또는 그 이상을 잘 만큼 야간 수면이 긴 것이 특징이다. 진단기준에 따르면 특발과다수면에서는 탈력발작은 없고, 술에 취한 사람처럼 아침에 일어날 때 잠에서 깨기 어려운 수면관성 증상을 보인다.

과다수면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설문검사와 면담을 통해 우울이나 불안, 주간 졸림증 정도를 먼저 평가하고, 1박 2일에 걸쳐 야간수면다원검사와 다중수면잠복기검사를 시행한다. 야간수면다원검사에서 수면무호흡증 등 주간졸림증을 유발하는 다른 수면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다중수면잠복기 검사는 다음 날 낮동안 시행해 평균 수면잠복기와 렘수면잠복기를 측정해 과다수면장애를 확진한다. 진단이 이뤄지면 거의 대부분의 환자들이 치료를 요한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로 나눠진다. 약물치료로는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활성화시켜 각성을 유지시키는 모다피닐/아르모다피닐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히스타민 수용체에 작용해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호전시키는 피톨리산트라는 약물이 국내에 도입돼 과다수면장애의 치료에 있어 약물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생활습관 및 행동 교정이 있다. 규칙적인 수면 습관, 운동, 건강한 식이, 수면위생, 필요시 규칙적인 낮잠을 자는 것 등이다.

과다수면장애는 대부분 사춘기 이후부터 초기 성인 사이에 호발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발생하는 다른 병이나 신체 상태와 혼동하기 쉽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아동기에 비해 자고 일어나는 시간이 뒤로 밀리는 수면위상지연 현상이 일어나서 밤에 늦게까지 잠을 자지 않는 경우가 흔하고, 또 늦게까지 공부를 하는 경우가 있어 수면부족도 흔하다. 청소년기 과다수면장애의 영향은 단지 수면과 관련된 영역에 그치지 않는다.

실제로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청소년 환자들 중 과다수면의 증상들을 직접 호소하는 경우가 흔치 않다. 대신, 우울감이나 과민함 등 기분의 변화나 주의집중력의 장애로 학업의 어려움, 피로, 불면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중 결국 과다수면장애로 진단받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즉, 과다수면장애에 의한 증상으로 낮시간에 졸리고, 피곤하며 무기력하고 예민해지며, 공부할 때 집중이 잘 되지 않고, 반대로 밤에는 잠이 잘 오지 않는 것이다. 이런 청소년 환자들이 과다수면장애를 진단받고 본인과 가족이 증상의 원인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치료를 받음으로써 일상생활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흔히 목격할 수 있다. 따라서 과다수면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수면의학 전문의와 상의해 올바른 검사 방법 및 치료에 대해 상담을 받는 것이 권고된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