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의 성공적인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관용 어구 사용 능력 정밀 평가
아동이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단서, 맥락 파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은유적인 관용구를 잘 이해해야 한다. 이 도구는 검사 항목에 한국 사회문화적 상황을 반영해 학령기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는 관용 어구 사용 능력을 정밀하게 평가한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
검사는 총 45개의 관용적, 비유적 표현이 담긴 문항과 45개의 삽화로 구성돼 있다. 검사자는 아동에게 문장과 그림을 보여준 후 문장을 한 글자씩 읽어준다. 아동은 그림이 문장에 담긴 관용적, 비유적 의미를 나타내는지 답변한다.

천 교수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이를 대상으로 사회성 언어를 담당하는 뇌 활성 영역을 관찰하는 연구 중 전 세계적으로 사회성 언어를 평가할 적합한 도구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검사 도구 개발은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관용 어구 수백개 중 아동들이 이해할 만한 것을 추리는 작업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후 관용 어구의 의미를 담아낸 ‘일치 삽화’, 문자 그대로 해석한 ‘불일치 삽화’, 관용 어구와 상관없는 ‘중립적 삽화’들을 하나하나 세밀하게 그리는 과정을 거쳤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