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꽃가루로 알레르기 비염 환자 증가
예방 위해 노출 최소화하고, 증상에 따라 적극적인 관리 필요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지는 계절이 찾아왔지만, 일부 사람들에게 봄은 반갑기보다는 고통의 계절이 되기도 한다. 바로 알레르기 비염 때문이다. 특히 봄철에는 꽃가루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급증한다. 봄철 알레르기 비염은 단순한 계절성 불편함을 넘어, 일상생활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질환으로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알레르기 비염은 외부의 알레르겐(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면역체계가 과도하게 반응해 코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봄철에는 수목류 꽃가루가 공기 중에 다량으로 퍼지기 때문에,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을 동반한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이 많아진다. 주된 증상은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이며, 눈 가려움증과 눈물, 결막염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꽃가루 알레르기의 경우 노출 자체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외출 시에는 마스크와 안경 착용을 생활화하고,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과 얼굴을 깨끗이 씻고 옷은 먼지를 털어 세탁하는 것이 좋다. 또한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오전 시간대나 바람이 강한 날은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이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실내에서는 공기청정기를 활용하고 창문을 오래 열어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봄철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으로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며,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봄철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으로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며,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약물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가벼운 증상은 식염수를 이용한 코 세척, 항히스타민제나 국소 스테로이드 분무제를 통해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반복되거나 만성화되면 면역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면역요법은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체내 반응을 조절하는 치료법으로,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알레르기 체질 자체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알레르기 비염은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자칫 감기로 오해하고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감기와 달리 열이 없고, 맑은 콧물이 오래 지속되며 특정 계절에 반복된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부비동염(축농증), 중이염 등 이차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신지현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신지현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신지현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봄철 알레르기 비염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계절성 질환이다”며, “꽃가루 알레르기는 철저한 노출 회피와 함께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병행해야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