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장동규, 조병래 교수 연구팀은 최근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에서 비파열성 뇌동맥류로 치료받은 환자 중 288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경우 뇌혈관 내 코일색전술 치료가 최근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코일색전술은 뇌혈관이 약해져 부풀어 오른 뇌동맥류가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코일을 채워 넣는 시술이다. 이때 복잡한 뇌동맥류의 경우 동맥류 입구로 코일이 흘러나올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그물망을 삽입하는데, 여기에 혈소판이 달라붙으면 혈전이 잘 생길 수 있다. 실제 뇌동맥류 치료 시 시행되는 그물망보조 코일색전술의 경우 색전증이 많게는 49%까지 보고되기도 했다. 혈전으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하면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수술이 이뤄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헤파린이라는 약물을 사용해 혈전을 예방하고 있지만, 헤파린 사용량이 많은 경우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적절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장동규 교수는 “최근 뇌동맥류 치료방법으로 코일색전술이 많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합병증 발생률이 더 높다고 알려진 스텐트 보조하 코일색전술이 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앞으로 뇌동맥류 환자들이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장동규 교수팀의 이번 연구논문(Feasibility and safety values of activated clotting time-guided systemic heparinization in coil embolization for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은 유럽 신경외과 공식학회지 ‘Acta Neurochirurgica’에 발표됐다.
김국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