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불면증은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 끼쳐
올바른 수면 패턴과 안정적인 라포 형성 등 부모의 역할이 중요
◇성인 불면증과 다른 소아 불면증의 원인
소아 불면증은 어린이들에게 발생하는 수면장애이다. 잠에 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고 지나치게 일찍 일어나는 것을 일컫는다. 잠에 잘 들지 못한다는 점에서 성인 불면증과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성인 불면증은 주로 스트레스, 우울증 같은 정신적 요인이나 건강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병 등 신체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성인은 잠에 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한다.
반면, 아이들의 불면증은 수면환경, 정서적 안정과 양육 환경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 밤에 어두운 환경이 되면 수면 유도 호르몬 멜라토닌(Melatonin)이 분비된다. 멜라토닌 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신체는 잠에 들 준비를 하게 된다. 너무 밝은 수면 환경과 전자기기가 방출하는 블루라이트 빛은 멜라토닌 분비를 저하시킨다. 수면 시작 시간이 늦춰짐에 따라 수면의 질은 떨어진다. 뇌가 계속 깨어있는 각성 상태를 유지해 생체 시계가 망가져 다음날 피로를 느끼기 쉽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해 뇌의 각성 상태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아이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라면 신경계 자극으로 불면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학업이나 친구관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는 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한다. 이때 교감신경계는 몸을 '싸움 또는 도피' 상태로 만든다. 흥분된 상태에서 심박수와 호흡이 빨라지고 혈압이 상승한다.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로 긴장 완화와 이완을 담당하는 부교감신경 작용이 억제된다. 수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방해받아 깊은 잠에 들지 못하거나 악몽을 꾸는 증상을 겪을 수 있다.
부모의 양육 방식 역시 아이의 수면 습관과 정서적 안정에 큰 영향을 준다. 지나친 통제와 엄격한 양육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가 불안정해 아이와 유대관계 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밤중에 깨서 잠들기를 거부하는 분리불안을 겪을 수 있다. 가정 내 갈등, 부모의 스트레스나 불안감은 아이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이도 부모의 감정 상태를 알아차리고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유지돼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이의 일상과 성장을 망치는 불면증
불면증이 지속된다면 일상생활에서 많은 문제를 겪게 된다. 수면 시간 지연으로 낮 동안 피로감이 몰려오게 된다. 이는 집중력 저하와 학습 능력 저하로도 이어져 아이의 학업을 방해할 수 있다. 사소한 것에도 과민반응하고 쉽게 짜증을 내게 된다. 비정상적인 행동들의 반복으로 ADHD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성장호르몬은 깊은 수면 시기에 많이 분비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성장 호르몬 분비가 억제돼 키 성장과 근육 발달 등 신체적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육부진을 초래해 시기에 맞는 정상적 발달이 어려워진다. 또한 수면 부족은 면역 기능 저하로 이어져 감염성 질환에 더 쉽게 노출된다. 감기 같은 일반적인 질병에 자주 걸리고 회복 속도가 더뎌진다.
올바른 수면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지나친 피로감으로 신체 활동량이 줄어든다. 식욕 조절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과식을 유도할 수 있다. 신체 에너지 역시 비효율적으로 소모된다.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쳐 소아 비만, 인슐린 저항성 등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소아 불면증 해결,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
소아 불면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아이가 잠들기 전 긴장을 풀고 몸이 이완될 수 있도록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잔잔한 음악을 들려주거나 책을 읽어주는 등 편안한 취침 루틴을 만들어 수면 준비를 돕는다. 취침 전 TV나 스마트폰 같은 자극적은 빛은 피하고 어두운 수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낮잠을 너무 오래 자는 습관은 밤에 숙면을 어렵게 한다. 낮잠 시간을 조절해 아이의 수면 주기를 안정화해야 한다. 아이가 충분한 숙면을 취하고 나면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주는 것이 좋다. 수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돼 규칙적인 수면 패턴 형성에 도움이 된다.
아이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해야 한다. 학업이나 일상 활동 중 어떤 부분에서 아이가 스트레스와 자극을 받는지 확인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부모가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자세는 아이와의 안정적인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부모가 밝은 감정을 아이에게 전달해 신뢰 관계인 라포가 형성되면 아이가 자신감을 갖게 된다. 긍정적 에너지로 인해 스트레스가 감소하면서 교감신경계의 과도한 자극이 억제돼 불면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지민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