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디스크)이 손상되거나 탈출하면서 척추 신경을 압박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평소 허리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생활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 저림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주로 중장년층에서 발생했으나 최근 들어 점점 발병 연령이 낮아지는 추세다.

이러한 척추질환은 초기에 발견하면 비수술 치료로도 통증을 개선하고 일상을 회복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와 연령, 직업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약물치료부터 물리치료, 도수치료, 주사치료 등 다양한 비수술 치료를 진행한다. 비수술 치료는 변형된 척추를 원래의 건강한 상태로 되돌리기는 어렵지만, 신경을 압박하는 염증 등을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정상적인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만약 비수술 치료를 꾸준히 해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중증 신경 압박으로 인해 마비 등 합병증이 발생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요즘에는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법이 발달해 있어 과거에 비해 척추 수술의 부담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최소 절개를 통해 진행되는 척추내시경 수술은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어 회복 속도가 빠르고 고령이거나 만성 질환,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척추 건강을 지키고 싶다면 치료를 받으면서 환자 스스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상 속 바른 자세는 척추 건강을 유지하는 첫 걸음이다. 다리를 꼬는 등 신체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는 자세를 피해야 하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하여 전신의 근육을 이완시켜야 한다. 허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적당한 강도로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척추질환은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가능한 진단 시기를 앞당겨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 비수술 치료부터 수술까지 다양한 치료법을 두루 제안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찾아 현재 나의 척추 상태에 가장 적합한 치료를 시행해야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험이 많은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허리 통증에서 벗어나기 바란다.
(글 : 진성엽 성남 성모윌병원 신경외과 원장)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