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울산 북구 현대차 울산공장 전동화품질사업부에서 발생한 사고로 연구원 3명이 숨졌다. 이들은 복합환경 챔버에서 차량의 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질식된 상태로 발견됐다.

현대차는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유사 사고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밀폐 환경과 유해가스의 위험성
밀폐된 작업 환경에서 배기가스가 적절히 배출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배기가스에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과 같은 유해물질이 포함돼 있어 장시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와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한다. 특히 일산화탄소는 무색무취로 감지하기 어려워 노출 초기 대응이 어렵다.
이번 사고가 발생한 복합환경 챔버는 차량 한 대가 들어갈 수 있는 밀폐된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경우 내부 공기가 빠르게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 관계자는 "좁고 밀폐된 공간에서 배기가스가 빠져나가지 않아 질식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산업현장에서 환기 시스템의 중요성
산업현장에서 환기 시스템은 필수적인 안전장치로 간주된다. 특히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환기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의 생명이 직접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다.
환기의 중요성은 자동차 제조업을 넘어 화학, 건설,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강조돼왔다.
화학산업은 유해가스를 다루는 대표적인 분야다. 생산 공정 중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암모니아, 황화수소(H2S) 등의 가스는 작업자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일부 가스는 색과 냄새가 없어 누출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환기 시스템의 미작동은 공정 중 폭발 사고나 중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제조업에서는 금속 가공, 플라스틱 생산 등의 공정에서 유해물질이 방출된다. 용접 시 발생하는 용접흄, 고온 작업에서 나오는 유독 가스 등이 작업자의 호흡기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제조업 내 환기 부족이 만성 호흡기 질환 발생률을 높인다고 경고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질식사고는 환기 시스템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환기는 모든 산업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로, 이를 소홀히 할 경우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기 시스템의 강화와 안전 규정 준수를 통해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높이고 사고 재발을 방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종균 기자
press@healthinnews.co.kr